그림을 못 그려서 논문을 거부당했다?! 17세기 유럽은 ‘과학혁명’의 시대였습니다. 아직은 과학이라는 단어가 지금처럼 쓰이지 않던 그때, 유럽에서는 ... 개발 중이지만, 나중에 게임이 완성될 때를 기대하게 만드는 참신한 과학사 게임, ‘프린키피아 : 마스터 오브 사이언스’였습니다 ...
교수를 역임했습니다. 그는 뉴턴의 대표적인 저서이자 뉴턴 역학이 집대성 되어있는 의 출판을 지원하고, 천체의 궤도가 완전한 원이 아닌 타원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 약 75~76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핼리혜성의 특징을 알아낸 것으로 유명합니다. 재임 기간 1919~1931년 20세기 초 ...
하더군요, 하하. 저는 자연의 법칙을 숫자와 식, 타원, 직선 등 수학으로 설명했답니다. ‘프린키피아’의 원래 제목도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예요. 수다 : 수학하면 빠지지 않는 미적분도 발명하셨어요! ‘미분’은 속도, 거리 등이 아주 짧은 순간에 어떻게 변화했는지, ‘적분’은 어떤 ...
수는 없어. 혹시 ‘만유인력의 법칙’을 아니? 시에도 나오는 아이작 뉴턴은 1687년 ‘프린키피아’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이 법칙을 소개했어. 질량을 가진 두 물체가 있을 때, 서로를 끌어당기는 만유인력이라는 힘이 존재한다는 법칙이지. 우리 둘도 사실은 서로를 끌어당기고 있지만, 우리의 ...
합력 혹은 알짜힘이라고 한다. 1687년 영국의 과학자 뉴턴은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프린키피아)’라는 책에서 물체의 운동에 대한 물리 법칙을 발표했다. 이를 뉴턴의 운동 법칙이라고 하며, 흔히 운동의 제3법칙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이를 이용해 여러가지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
개념이 처음 등장한 건 17세기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턴의 저서 ‘프린키피아’에서다. 이 힘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을 일컫는 조석 현상을 설명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조석력’이라 불렀다. 조석력은 바다만이 아니라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에 작용한다. 조석력이 작으면 별다른 일이 ...
위 식은 흔히 F=ma라고 알려져 있는 ‘뉴턴의 운동방정식’이다. 이는 뉴턴이 저서 ‘프린키피아’에서 소개한 3개의 운동 법칙 중 2번째 법칙이다. 이 법칙은 일상생활에서 보는 물체부터 행성이나 은하 같은 천체의 운동까지 매우 정확하게 설명한다. 또 개미 정도 크기의 물체도 설명할 수 있다 ...
많은 사람들은 뉴턴의 이론이 정확히 어떤 의미를 갖는지 모르고 있었다.에밀리는 프린키피아를 단순히 번역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상세한 해석을 덧붙였다. 수학으로 된 개념을 알기 쉬운 단어로 번역했고, 중력의 작용과 에너지 보존의 법칙 등 숨어 있는 의미를 찾아내 현대적으로 명쾌하게 ...
“열 개의 점 중에서 홀수점은 두 개뿐이니까, 두 홀수점 중 한 홀수점에서 한붓그리기를 시작해 다른 홀수점에서 끝나겠군.”한붓그리기에 성공하자, 쾨니히베르크에 있는 가장 큰 건물의 문이 열렸다.세상을 바꾼 사과서둘러 들어가자 긴 통로가 나왔다. 등 뒤에서 문이 닫혀 버렸지만, 저 앞에 ...
이미 몇 백 년 전에 아이작 뉴턴을 괴롭혔다. 중력의 법칙을 알아낸 뉴턴은, 그의 책 ‘프린키피아’에 태양·지구·달 세 천체의 궤도를 나타내는 방정식을 만들어냈다. 세 개의 천체가 서로 작용하며 움직이는 이 방정식을 ‘삼체문제’라고 부른다. 뉴턴은 수학적으로 삼체문제를 풀 수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