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과학동아 2020년 01호

    움직임을 보는 ‘하늘의 문(천문)’으로 향했다.  영화에서 세종은 백성들이 더 많은 곡식을 얻기 위해 제대로 된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영실에게 “어디까지나 중국에 맞춰진 역법이어서 (조선에서는) 정확할 수 없다”며 “영실아, 니가 해줘야겠다. 간의(천문관측기구)를 만들어 ...

  •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9호

    피부와 폐로 호흡하기 때문에 화학 물질이 닿으면 생명에 큰 위협을 줄 수 있거든. 곡식을 거두는 추수철엔 우리가 논에 머무르다가 타작 과정에서 죽을 위험이 커 무분 별한 풀베기도 자제해주길 바랄게. 또한, 추수가 끝난 뒤 여기저기서 다음 농사를 위해 논에 불을 태우는 풍습도 우리를 더욱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

    과학동아 2019년 02호

    한문 표기)는 생으로 먹을 수도 있고, 구워서도 먹으며, 삶아서 먹을 수도 있다. 곡식과 섞어 죽을 쑤어도 되고, 떡을 만들거나 밥에 섞어도 된다. 고귀마를 넣어도 되지 않는 음식이 없으니 이 고귀마가 조선팔도에 퍼진다면 굶주리는 백성이 결코 없을 것이다’라고 기록했습니다. 실제로 고구마는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2018년 11호

    그 결과 글루텐 소화를 방해하는 유전자와 과민성 쇼크를 일으키는 유전자가 밀의 배유(곡식에서 껍질과 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분 부분)에서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천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도 찾아냈다. 고온 스트레스에 강한 우리밀환경순화적인 방법으로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2018년 07호

    “빙하기 이후 춥고 건조한 환경 때문에 인간이 숲을 벗어나 들판에 거주하면서 곡식이 세상에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발간된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에서도 이런 진화적인 관점이 잘 드러난다. 4세대 유전자 가위로 주목받고 있는 크리스퍼를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진화적인 ...

  •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02호

    고양이의 장난감으로 쓰인다 하여 ‘고양이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강아지풀은 곡식인 ‘조’의 조상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야생에서 자라던 강아지풀을 개량해 지금의 조가 탄생한 거예요. 실제로 옛날부터 흉작이 들면 강아지풀을 빻아 죽을 끓여 먹었어요. 요즘은 강아지풀을 가축의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2017년 06호

    불고 뜨거운 햇볕에 건조된 상태였다. 오히려 빵의 주재료가 밀가루인 점을 감안하면, 곡식이 풍요롭게 자랐던 지중해 연안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빵의 고향으로 꼽을 수 있다.기원전 4000년 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심지인 파피로니아에서는 이미 빵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6호

    田)’자 안에 점이 4개 찍혀 있는 갑골문인데, 이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있답니다. 밭에다 곡식을 빼곡히 심어 놓은 모습이라거나, 옥에 세밀한 조각을 새긴 모양이라는 거예요. 또 사금을 채취하는 뜰채를 그린 모습이라는 해석도 있어요.‘셀 수(數)’는 그 안의 ‘칠 복(攵)’이 뜻을 나타내요.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2017년 06호

    대 문명 발상지라고 해도 농경기술이 지금처럼 과학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주변에서 흔한 곡식을 먹었을 거라는 추측이다. 고대 이집트 밀로는 엠머밀과 스펠트밀, 호라산밀 등이 꼽힌다. 이 중 엠머밀은 지금은 더 이상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 밀에서 파스타와 스파게티의 주 재료인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5호

    기르는 공간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시설은 물론 학교, 교회 등의 집회 시설도 있죠. 또 곡식이나 포도주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도 마련돼 있어요. 심지어 죄수나 정신질환자를 가둬뒀던 곳도 함께 발견됐답니다.더 놀라운 사실은 이런 지하 도시들끼리 서로 연결돼 있다는 거예요. 지하에 지상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