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2019년 10호

     “해외 연구자들이 자국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발표하는 걸 볼 때 부러웠죠.”10년 전, 해외 천문학자들이 수천만 광년 떨어진 천체를 자국의 전파관측망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때 우리나라 천문학자들은 그 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보기만 했다. 그러던 2009년, 한국에도 처음으로 초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

    과학동아 2019년 09호

    우리가 아는 생명체 중에 종교를 가진 건 아직 인간이 유일합니다. 그런데 종교는 생명체가 지성을 갖는 과정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인간만의 고유한 특성일까요? 만약 인공지능이 발달한다면 인간처럼 종교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요? 혹은 종교적인 깨달음을 얻는 것도 가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

    과학동아 2019년 08호

    “과학은 내게 정말 엄청난 일을 할 수 있게 해줬습니다. 비록 내가 상상했던 것과 같지는 않았지만, 덕분에 이제까지의 삶을 즐길 수 있었죠. 마찬가지로 미래에는 지금은 상상할 수도 없는 더 많은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과학은 날마다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고 있습니다. ...

  • 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

    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2호

    네안데르탈인은 구부정한 야만인? 흔히 고인류라고 하면, 어깨를 움츠리고 구부정한 자세로 걷는 모습을 떠올려요. 그런데 지난 10월, 미국 워싱턴대학교와 스페인, 이스라엘의 공동 연구팀이 네안데르탈인은 허리를 곧게 편 자세를 가졌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네안데르탈인의 신체 중 연구팀 ...

  • [과학뉴스] 지질학적으로 지금은 ‘치킨 시대’?

    [과학뉴스] 지질학적으로 지금은 ‘치킨 시대’?

    과학동아 2019년 01호

     미래 인류가 오늘날의 ‘인류세’를 닭 뼈로 알아볼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950년대를 기점으로 기후변화, 플라스틱 사용 등 인류가 지구환경을 전에 없는 방식으로 바꿔 놓으면서 현대를 ‘인류세’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는 지질학자들이 늘고 있다. 캐리스 베넷 영국 레스터대 지리·지질·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

    과학동아 2018년 09호

     얼마 전 영화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인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이 개봉했다. 1993년 첫 편이 개봉할 때까지만 해도 공룡은 일반인에게 생소한 소재였다. 하지만 ‘쥬라기 공원’ 시리즈는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을 철저하게 고증하고 재현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

    과학동아 2018년 01호

      #익스피디션 익스피디션(Expedition)은 임무 수행을 위해 ISS로 향하는 우주인들로 구성된 탐사대를 말한다. 지금까지 15개국 239명의 우주인이 54회의 익스피디션을 완수했다. 거액의 자비를 들여 민간 우주비행사 자격으로 ISS에 방문한 사람도 7명이나 된다. ‘익스피디션 1’은 밀레니엄이 시작되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과학동아 2017년 12호

     편집자주: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나풀나풀, 속이 투명한 나비가 날갯짓을 하는 듯한 이 광물은 탄산칼슘(CaCO3)으로 이뤄진 방해석이다. 마치 조각가가 정교하게 깎아놓은 것 같지만, 인간의 손길은 전혀 닿지 않은, 자연이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2017년 11호

     1916년 아인슈타인은 잔잔한 중력장 위에 돌을 던지면 어떤 일이 발생할지 생각했다. 거대한 별이 갑작스럽게 폭발하는 등 중력에 변화가 생기는 상황을 수학 모델로 만들고, 중력 변화가 사방으로 전파된다는 파동방정식의 해를 구했다. 아인슈타인은 이를 ‘중력파’라고 명명했다. 그런데 이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

    과학동아 2017년 08호

    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사는 곤충인데, 교통수단과 무역의 발달로 전세계에 퍼졌다. 우리나라에는 약 10종류가 있다. 이 중 산바퀴(Blattella nipponica)와 경도바퀴(Asiablatta kyotensis)는 주로 야외에서 산다. 그래서 집 안에서 발견되더라도 먹이를 찾아 우연히 들어온 것이므로, 번식할까봐 크게 걱정하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