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2020년 04호

    ◇ 보통난이도 |  스마트폰 줌 삼성전자가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한 ‘갤럭시 S20 시리즈 언팩(공개)’ 행사에서 100배 배율의 디지털 줌 기능을 갖춘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S20 울트라’를 발표했다. 지난해 9월 화웨이가 30배 디지털 줌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 ‘메이트 30 프로’를 공개한 ...

  • [천리안 2B] 환경탑재체 총괄 이승훈

    [천리안 2B] 환경탑재체 총괄 이승훈

    과학동아 2020년 02호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환경탑재체3만6000km 상공에서 ppm 수준 미세먼지 포착환경탑재체(GEMS)는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오존, 에어로졸 등 총 5가지의 대기 오염물질을 관측한다. 인도 동쪽부터 일본 동쪽까지 가로세로 5000km의 영역에서 대기 오염물질이 어디서, 얼마만큼 발생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2호

    더 많이 찾기 위해 ‘네오캠(NEOCam)’이라는 적외선 우주망원경을 만들 계획이에요. 현재 광학망원경으로 보기 어려운 소행성도 소행성이 가진 열을 감지해 볼 수 있죠. 훈련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하루 빨리 네오캠을 쓸 수 있도록 국제사회에 협력을 요청하면서 학회를 마무리했답니다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2호

    있는 근지구소행성 상당수를 왜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소행성은 보통 지상의 광학망원경으로 관측해요. 별과 달리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소행성에 반사된 빛으로 관측하지요. 반사된 빛의 양이 적어 어두운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어요.  안 그래도 반사된 빛의 양이 적은데 소행성이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2019년 11호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우주 공간 어딘가에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고 상상했다. 그 결과 태양계에 존재하는 8개의 행성을 찾았고, 약 100년 전에는 안드로메다은하도 발견됐다. 우리은하라는 공간을 벗어나 외부은하까지 우주관이 확장된 것이다. 태양계를 벗어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2019년 10호

    명확했다. 전파로 얻은 천체 사진의 분해능이 매우 낮다는 사실이다. 가령 전파망원경은 광학망원경보다 구경이 200배 커도 분해능은 100분의 1이 안 되는 수준이다. 과거 전파망원경의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구경을 계속 키워봤지만, 그렇다고 구경을 무한정 크게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이에 19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

    과학동아 2019년 07호

    초소형 위성을 개발하는 국내 우주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는 2019년 7월 초 서울에서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한다.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술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고급 인력이 풍부한 서울을 떠나는 것은 스타트업 입장에서 쉬운 결정이 아니다.그럼에도 부산으로 떠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2019년 03호

    볼 수 있는 가시광과 비교해 전파 대역에서 동일한 분해능을 얻으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광학망원경에 비해 수천 배 이상 커야 한다. 그렇다면 블랙홀을 굳이 전파 대역에서 관측할 필요가 있을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빛의 파동성을 활용한 간섭계 기술로 지구만한 크기의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21호

    우와, 생각보다 정말 많은 여성 과학자들이 있었구나. 혹시 우리나라에는 어떤 여성 과학자분들이 계실까? 우리나라 여성 과학자들을 직접 만나봤어! ●“나노 물질의 독성을 연구하고 있어요!”_박은정(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융합건강과학과 교수)Q과학자가 되기까지 고생이 많았다고 들었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2018년 12호

    ‘델타II’ 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9년 7개월 23일 만이다. 케플러라는 이름은 광학망원경 연구와 천체물리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서 따왔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그간 지구에서 약 6500만km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궤도를 따라 372.5일 주기로 공전하며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