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08호

    알아보기 위해 연구 중이에요. 대표적으로 2020년에 칠레에 세워질 세계 최대 크기의 광학망원경인 ‘거대마젤란망원경’이 있지요. 이 망원경에는 지름 8.4m의 거대한 거울 7장이 장착돼서 허블망원경보다 10배나 더 선명하게 우주를 관찰할 수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이용해 우주 탄생의 모습을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

    과학동아 2018년 06호

     중국 삼국시대. 무예와 시, 무술이 모두 출중하기로 유명한 마 씨 5형제가 살았다. 넷째인 마량(馬良)은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었다. 마량이 흰 눈썹을 가졌다는 데서 유래한 ‘백미(白眉)’는 능력이 가장 출중한 인물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 중국은 떠오르는 과학기술 강국, 즉 ‘라이징 스타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과학동아 2018년 05호

      “3, 2, 1, 발사! 굿럭(Good luck)!”4월 18일 오후 6시 51분(현지시각),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엄청난 굉음과 함께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9’이 발사됐다. 팰컨9에는 차세대 외계행성 탐색 우주망원경인 ‘테스(TESS·Transiting Exoplanet Survey Satellite)’가 실려 있었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18호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개기일식1919년 5월 29일, 역사상 가장 유명한 개기일식이 일어났어요. 바로 1915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개기일식이지요.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무거운 질량을 가진 물체는 강한 중력으로 인해 주변 시공간을 구부러뜨려요. 이때 그 주위를 이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2017년 11호

    서울대 천문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상각 교수가 기증해 2014년 10월 호주에 설치한 구경 43cm 광학망원경)을 이용한 광학 관측 결과를 보고했다.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

    과학동아 2017년 05호

    성질 급한 화산의 레시피가 만든 흑요석흑요석은 약 70%의 이산화규소에 철, 마그네슘 등의 불순물이 섞여 만들어진 준 광물이다. 화산이 이산화규소가 풍부한 마그마를 지상으로 내뱉으면, 원자배열을 이룰 새도 없이 급속히 식으면서 자연 유리가 만들어지는데, 바로 흑요석이다.지난 호에 소개한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22호

    으로 우주를 감시해요. 한국, 몽골, 이스라엘, 모로코, 미국 등 5군데에 설치된 지름 50cm 광학망원경을 이용하지요. 하나의 망원경에서 얻는 정보는 적지만, 5개 망원경의 정보들을 모으면 우리나라에서 발사한 모든 위성의 궤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답니다.우주 환경미화원 출동!우주 감시와 함께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

    과학동아 2016년 09호

    과학동아 6월호 커버스토리에서 기자는 절단장애인을 위한 첨단의수족 기술을 주로 다뤘다. 불의의 사고로 다리를 잃은 무용수를 1년 만에 다시 무대로 복귀 시킨 미국 MIT 미디어랩 휴 허 교수의 전자의족 기술과, 생각대로 움직이는 전자의수를 만들려는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5개년 프로젝트 등을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21호

    ‘백설공주’에 나오는 마녀의 거울은 마법의 거울이에요. 하지만 그 정체는 물체의 크기를 그대로 나타내는 평범한 평면거울이랍니다. 만약 마녀의 거울이 볼록하거나 오목했다면, 거울에 비친 여왕님의 얼굴이 그리 예뻐 보이진 않았을 테니까요. 거울에 따라서 왜 다른 모습으로 보이는 걸까요?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도 오로라가 있을까?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도 오로라가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16호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그레그 할리난 교수팀은 거문고 자리에 있는 작은 별 ‘LSRJ 1835+3259’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온 대전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지구로 오면서 지구 대기와 반응해 빛을 내는 현상이에요. 주로 극지방에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