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트 괴델은 오스트리아의 논리학자였습니다. 그는 러셀과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를 읽고 깊은 인상을 받아 이와 관련한 연구를 했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그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고, 핵심 아이디어를 정리해 쾨니히스베르크 학회에 참석했습니다. 학회 셋째 날에 괴델은 ...
들어가면서 두 가지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첫째, 그 유명한 1 + 1 = 2의 증명은 러셀과 화이트헤드가 집필한 의 379쪽의 한 단락이었습니다. 둘째, 그들은 평범한 인간이었습니다. 이 책을 집필하면서 좌절하고, 몸부림치며, 이혼까지 하게 된 사람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
내버려 둘 수 없었습니다. 이제 러셀에게 분명한 학문적 목표가 생겼습니다. 러셀은 화이트헤드 교수와 의기투합해 모순이 없는 수학의 토대를 새로 구축하는 연구에 돌입했습니다. 훗날 러셀의 역작이 될 의 구상이 시작됐습니다 ...
논문을 읽고 요지를 공책에 베끼기도 하면서 시간을 보냈어요.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10년에 걸쳐 러셀과 를 써 수리논리학의 기초를 확립했어요. 밤을 지새우게 한 집합론 여러분은 공부를 하다가 ‘이 지식이 나에게 도움이 될까?’라는 질문은 ...
수학의 위기를 직감한 사람은 러셀만이 아니었습니다. 러셀의 기숙사 건너편에서 화이트헤드 교수가 새로운 논리학을 위한 연구에 착수하고 있었습니다. ✲글쓴이 소개최정담. 수학 베스트셀러 의 저자 최정담은 수학 대중화에 관심이 많고, 수학과 철학을 공부하는 KAIST 수리과학과 ...
면포라고 합니다. 면포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피부 안에 박혀 하얀색을 띠는 상태를 화이트헤드, 틈이 생겨 공기에 노출되고 멜라닌 색소가 침착돼 검은 색깔을 띠는 상태를 블랙헤드라고 합니다. 면포가 오래되면 세균으로 인해 염증이 생기며 여드름이 될 수 있습니다. 열수분출공() 깊은 ...
같습니다. 메이나드 교수는 이런 업적들을 인정받아 사스트라 라마누잔상(2014년), 화이트헤드상(2015년), 유럽수학회상(2016년)을 수상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2022 필즈상을 거머쥐었습니다. 여러 업적 중 저는 ‘연속한 두 소수의 최대 차 문제’에 대해 먼저 소개하려 합니다. 이 문제는 헝가리 ...
자칭 러셀 덕후인 최정담 작가, 러셀 박사로 통하는 박병철 부산외대 교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 러셀을 꼽는 송용진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추천하는 러셀의 책을 만나 보세요. 러셀이 90년 넘는 세월 동안 열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 ...
러셀은 평생에 걸쳐 사회 속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결책을 모색했어요. 여성이 정치에 참여하지 못했던 시절 여성의 참정권을 주장하고 반전반핵 운동 등 인류의 평화를 위해 목소리를 높였지요. 그 현장으로 가 볼까요?
러셀은 수학의 모든 것들을 기호만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화이트헤드와 약 10년 동안 연구해 완성한 저서 는 최대한 기호로 수학 개념을 표현해 언어적 모호함이 없도록 했어요. 이 책에 담겨 있는 유명한 내용 중 하나가 ‘1 + 1 = 2’임을 증명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