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어린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면 자폐 스펙트럼을 예측해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동양인의 장내 미생물 특성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미생물 혁신센터장인 프랜시스 첸 교수는 ”동양인과 서양인은 식습관이나 생활 환경이 ...
바람을 가르고 바람보다 빠르게!Part3.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Part4.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 ...
현상을 ‘인간 유전자 혼획(HGB)’이라고 이름 붙였다.HGB로 찾은 인간 DNA는 조상 혈통이나 자폐증, 당뇨병, 심장 질환 등의 질병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더피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인간 eDNA 연구는 초기 단계라 어떻게 사용될지 알 수 없으나, 소수 민족 ...
경험에 신경다양성이 부족하단 이유로 경시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은 예상보다 자폐증 환자 같지 않다고 제게 말하곤 하죠. 그러면 “당신은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무지해보여요.”라고 답합니다. 또래집단에 속하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는 대신 자신의 개성을 지키는 것이 더 ...
“OI는 더 나은 AI를 만드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OI로 알츠하이머나 자폐증 등 질병에 걸린 뇌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면 생물학 연구와 약물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강조했다. “5년 내 신약 개발에 쓰일 것” 뇌세포 바이오컴퓨팅 연구는 이제 막 싹을 틔운 ...
자폐의 세계는 따뜻하고 환상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소비되지 않고 자폐와 장애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면 논의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강병철도서출판 꿈꿀자유, 서울의학서적의 대표.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소아과 전문의가 됐다. 현재 캐나다 ...
김일빈 교수는 “지금까지는 유전체 서열을 전부 읽어내는 것이 오래 걸리고 비싸서 자폐와 관련된 비암호화 영역 연구가 별로 없었다”며 “유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더 밝혀내야 할 게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사고력을 요구하는 수학 문제를 푸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순 없으니까요. Q.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 중 뛰어난 수학 실력을 가진 전문가도 있을까요? 가능해요. 빠르게 계산하고, 잘 기억하는 재능이 이과 계열 직업군에서 성공할 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주변의 ...
매주 우요일을 기다리는 즐거움이 끝났다. 즐거움이 지나고 나니 무거운 마음이 남았다. 드라마 속 우영우는 친절한 동료들과 오래오래 행복하게 ... 가 현실에 있다면[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 Part1.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Part2.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
수 있었죠. 이 사례처럼 우리의 소통 방식을 이해하는 게 시작이라고 생각해요.그리고 자폐인들은 청소나 요리처럼 일상적인 행동도 어려워할 때가 있어요. 그럴 때 옆에서 누군가가 “도와줄까요?”라고 물어봐주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