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복이나 우주선 내부 사진을 보면 복잡하기 그지없어요. 반면 스페이스X에서 사용한 우주복을 보면 누구나 입을 수 있을 것처럼 단순하게 생겼죠. 조종 장치 또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깔끔하게 만들었으며, 대부분이 자동으로 조종되도록 만들었고요. 즉, ‘우주 비행은 어렵지 않다’는 ...
강한 환경인데도 지구에서 묻어온 미생물이 자라 생물막을 만든 거예요. 이 생물막은 우주복이나 배관의 밸브 등에서 발견되었어요. 심지어 지상의 생물막보다 더 두껍게 자란다는 사실도 알려졌지요.이렇게 우주인의 생존에 필수적인 장비에 생물막이 생기면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
있었어요. 무게의 63%는 등에 부착된 ‘휴대용 생명 유지 장치’가 차지했죠.바이오봇은 우주복에 케이블로 연결된 움직이는 로버예요. 휴대용 생명 유지 장치의 핵심인 공기 정화 장치, 전력, 열 조절 장치 등을 싣고 있어요. 무거운 등짐을 자동 카트에 실었다고 상상하면 되겠네요. 올해 NIAC 2단계에 ...
우여곡절 끝에 우주선으로 돌아왔지만 이미 우주선도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파손됐다. 우주복에 달린 추진 장치로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가야 하는 상황. 제한 시간은 우주 파편이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다시 오는 1시간 30분이다. 2013년 개봉한 SF 영화 ‘그래비티’는 갑작스러운 사고로 우주에 ...
몸을 화성의 혹독한 환경에서 보호할 우주복이 꼭 필요합니다. NASA도 가볍고 성능이 좋은 우주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7. 물곰이유 : 생명체 중 가장 생존력이 강하고 극한의 환경도 버티는 물곰이 화성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보기 위해전인수 : 실험 정신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참고로 지구에서 ...
연결 부분에 베어링을 넣어 걷거나 앉는 동작을 자유롭게 했다. 50년 전 아폴로 임무 당시 우주복은 입었을 때 팔을 어깨까지만 높일 수 있었고 몸을 굽히지도 못했다 ...
뜻이다. 메르스, 페스트, 인플루엔자 등도 BL3 이상이 필요하다. 실험실 안으로 마치 우주복을 입은 것처럼 전신을 흰 보호복으로 감싼 채 실험 중인 연구원의 모습이 보였다. BL3 실험실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덮는 전신보호복을 입어야 한다. 장갑과 덧신은 두 겹으로 착용한다 ...
동시 유영은 취소되고 말았어요. 결국 NASA는 10월 3일 ISS로 가는 우주선에 중형 우주복을 하나 더 실어 보냈어요. 덕분에 여성만의 우주유영이 이뤄질 수 있었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어정리* 연골 : 뼈와 함께 몸을 지탱하는 무른 뼈. 뼈 사이의 관절 부위 등에 있다 ...
다리를 움직이는지를 센서로 정확하게 측정 했지요. 이를 우주복의 움직임과 비교하면 우주복이 몸에 맞는지, 부상 위험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어요. 또 우주인의 생체 정보를 측정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과 우주인 운동기구 개발에도 참여했어요. Q 어떻게 NASA에서 일하시게 됐나요 ...
이곳은 ‘우주유영걸스’ 탄생 현장입니다! 우주는 숨 쉴 공기도 없고 중력도 없기 때문에 우주를 떠다니는 우주유영은 매우 위험한 임무인데요. 바로 오늘, 10월 18일 여성 우주인만으로 이뤄진 우주유영이 세계 최초로 이뤄집니다. 1957년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가 발사되며 우주 탐사 시대를 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