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

    과학동아 2013년 09호

    보호색을 띠고 있는 애벌레도 자외선을 보는 새에게는 두드러져 보인다고 설명한다. 황조롱이의 눈에는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 부근에서 들쥐를 쉽게 사냥한다.적외선으로 굴 안에 숨은 먹이를 투시한다뱀은 머리에 적외선 탐지기가 있다. 적외선에 예민한 감각털세포들이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23호

    구리먹황새물수리벌매붉은해오라기비둘기조롱이뿔쇠오리뿔종다리삼광조새홀리기솔개쇠황조롱이수리부엉이시베리아흰두루미알락개구리매알락꼬리마도요올빼미재두루미잿빛개구리매적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2004년 06호

    반대로 낮에만 활동하면서 들쥐와 새를 잡아먹는 새들이 있다. 바로 무서운 맹금류인 황조롱이와 말똥가리가 그들이다. 만약 이들이 낮에 들쥐 한 마리를 놓고 서로 잡아먹기 위해 오랫동안 싸워왔다면 틀림없이 한 종은 도태됐을 것이다. 이처럼 자연의 동물들은 싸우지 않고 양보하며 진화해왔다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2004년 01호

    이어진다.해는 불이 타듯 마지막 빛을 갈대 위에 뿌리고 갑자기 하늘로 치솟다 내려앉는 황조롱이와 솔개가 불덩어리 갈대 속으로 사라진다. 그때쯤 마지막 빛을 가르며 갈대밭 너머로 날아가는 백로, 갈매기, 왜가리 무리도 자취를 감춘다. 이 풍경에 젖어 을숙도 남단에 다다르면 석양에 잠긴 붉은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2003년 09호

    눈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 뿐만 아니라 시력도 사람보다 월등해 총천연색을 구별한다. 황조롱이는 심지어 자외선까지 구별해낼 수 있다고 한다.다섯째날 아침 탐사팀이 찾은 곳은 전북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운호저수지와 줄포면 만화동 반계선생유적지 입구. 팀원들은 생물교사답게 주변의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2003년 08호

    모래사장에서 알을 낳는 종다리와 물떼새, 곤충을 잡아먹는 표범장지뱀, 육식성 조류인 황조롱이와 새매가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천연기념물인 노랑부리 백로가 사구지대 내부 습지에서 쉬고 있는 모습도 발견됐다. 또한 이런 습지에는 환경부보호종인 금개구리와 맹꽁이도 집단으로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1994년 11호

    해오라기 청둥오리 재갈매기 등이다. 그밖에 까치 알락할미새 개재비 참새 집비둘기 황조롱이 논병아리 등도 많이 관찰됐다. 특히 한강의 조류는 월동조류가 전체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개체수(마리수)로는 80%를 차지하고 있다.과거와 비교해 볼 때 종수가 전체적으로 다양해지는 현상을 보이고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1994년 03호

    36마리를 관찰했는데, 이들은 B지구에는 없던 종이었다. 또 수풀을 날아다니는 맹금류 황조롱이를 발견한 것도 큰 수확이었다.이곳에서 탐사팀은 밀렵꾼을 만났다. 본래 철새들은 오전에는 먹이를 구해먹고 오후 시간에는 휴식을 취하며 에너지를 축적한다. 그런데 이날 오후 새들은 쉴새없이 떼를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1990년 01호

    81년 조류학자들로 구성된 탐사반에 관찰된 조류는 바다제비와 괭이갈매기 외에 슴새 황조롱이 노랑발도요만 등이 있다. 괭이갈매기는 대집단이 동도와 서도에 서식하고 있고 어린새들이 많은 것으로 보아 서도가 번식처인 것으로 추정된다. 바다제비 또한 초지와 암석 밑에서 부화되기 직전인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과학동아 1986년 10호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03호),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호) 매류인 갯빛개구리매 및 황조롱이(천연기념물 제 323호)등이다. 조류생태계의 문제점 한강은 서울시의 인구팽창과 공업화로 인해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이에 따라 서식하는 한강의 생물상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