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

    과학동아 2019년 02호

    로버는 고민 끝에, 택배 도둑을 위한 폭탄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생명을 해칠 수 있는 화약 폭탄은 아니고, 도둑을 골탕 먹이기 위한 일명 ‘반짝이 폭탄 함정(Glitter Bomb Trap)’이었다. 로버는 이 장치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공개했고, 1월 20일 현재 5000만 뷰를 넘길 만큼 전 세계인의 열렬한 지지를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

    과학동아 2018년 12호

      정책의 일관성과 연구의 실용성 중시  중국은 아주 오래 전부터 종이, 나침반, 화약, 인쇄술을 발명할 만큼 과학기술의 전통이 깊다. 이에 대한 국민적 자긍심도 대단하고, 지금도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청년들이 넘쳐나고 있다. 또한 소위 ‘BAT’로 불리는 중국의 3대 IT 기업(바이두, 알리바바,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

    과학동아 2018년 09호

    장군전을 발사하기 때문에 장전할 때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한 번 발사할 때 사용하는 화약량이 30냥과 20냥으로 발사 충격량이 현자총통과 황자총통보다 크기 때문에 발사 충격을 견딜 수 있고 넓은 발사 준비구역을 확보할 수 있는 거북선의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천자총통과 지자총통은 발사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

    과학동아 2018년 04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륨은 나무, 풀, 농작물 등 바이오매스를 태우거나 화약을 터뜨릴 때 주로 배출되고, 레보글루코산은 바이오매스를 연소시킬 때만 나온다. 정진상 책임연구원은 “레보글루코산 농도는 평소 수준인데 칼륨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다면, 이는 중국 불꽃놀이의 영향으로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19호

    지진처럼 단층이나 판이 움직인 자연지진이 아니라 사람이 만든 지진이에요. 사람들이 화약을 폭발시키거나 핵실험을 하면 ‘인공지진’이 일어나기도 하거든요. 따라서 인공지진이 감지되면 그 원인 중 하나로 핵실험을 의심해 볼 수 있지요.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은 지진파의 형태로 구별할 수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17호

    혼합물에 어떤 금속 원소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답니다. 불꽃놀이에서는 흑색 화약에 금속 원소를 넣어서 불꽃색을 만들어요. 스트론튬을 섞으면 빨간색, 칼슘은 주황색, 나트륨은 노란색, 구리는 파란색이지요. 또한 구리와 스트론튬을 섞어서 보라색 불꽃을 만들기도 한답니다.  55년째 불에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

    과학동아 2017년 09호

    때 31이라는 숫자가 뚜렷하게 보일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했다. 그 모양대로 할화약 주변에 스트론튬과 바륨이 각각 들어 있는 별들을 배열했다. 그리고 주변을 다시 파란색을 띠는 별들로 둘렀다. 완성된 타상연화는 과연 기자가 원하는 모양대로 불꽃을 터뜨려줄까. 해가 뉘엿뉘엿 지는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

    과학동아 2017년 05호

    따르면, 18세기 이전까지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이 문명의 우위에 있었다. 종이와 화약, 나침반 등이 동양에서 처음 발명됐다. 하지만 도자기 제조 기술을 중시한 동양과 달리, 거주 문화에 유리창을 도입한 서양은 유리 제조 기술에 집중했다.이 기술이 광학 기술에 적용되면서 먼 곳까지 볼 수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8호

    압지는 화약에 불이 잘 붙게 하는 종이예요.여기에 묻은 화약의 성분을 분석해 본 결과, 화약 제조에 핵심 원료인 질산칼륨(KNO₃)이 가장 많이 들어 있었어요. 전문가들은 이 사실을 토대로 소소승자총통이 불만 붙이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였다는 사실을 유추해냈어요.만약 원래의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6호

    , 탕! 스타팅 건과 스타팅 블록예전에는 화약이 ‘탕’ 하고 터지는 소리로 육상 경기의 출발을 알렸어요. 하지만 공기 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초속 약 340m로, 선수가 총에서 34m만 떨어져 있어도 소리를 0.1초나 늦게 듣게 되기 때문에 공평하지 않았지요.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2010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