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2013년 06호

    지표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분출과 함께 화산쇄설류가 발생하는데 이는 1000℃ 이상의 온도로 ... 시속 수백km 속도로 지표를 따라 이동하는 화산재해의 대표적이고 직접적인 ‘킬러’다. 토바 분출로 나온 화산쇄설류로 아프리카 대륙 동쪽과 호주 북서쪽 해안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가 ...

  • 지진 예측 가능할까

    지진 예측 가능할까

    과학동아 2013년 05호

    인류에게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는 자연재해라고 볼 수 있다. 한 순간 발생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뿐 아니라 많은 ... 판이 충돌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산맥이 형성되고, 바다가 사라지며, 화산이 발달한다.지진이 얼마나 큰 규모로 일어날지, 얼마나 자주 발생할지는 매질인 땅에 작용하는 힘인 ...

  •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화하다!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화하다!

    수학동아 2013년 03호

    재활용할 수 있다. ➋ 따뜻함과 안락함을 제공하는 육각기둥지진, 홍수, 화산 폭발 등 각종 자연 재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릴라이(Rely)’는 생존자들을 위한 멀티 생존도구다. 육각 기둥 형태로 펼치면 간이 침대가 되고, 접으면 물병과 식기도구, 세면도구 등 생존 도구를 넣는 가방이 된다.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2013년 02호

    돕기 위해 구조용 대형 무인항공기를 급파했다. 이 무인항공기에게 화산 폭발 정도는 우습다. 화산재와 유독가스가 가득해도 고성능 ... 만들 수 있다.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초소형 무인기가 전세계 재난재해 지역에서, 또는 전장에서 활약하는 날을 꿈꿔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

  • 부도리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02호

    돕고 벼의 병충해를 이기는 방법을 공부하며 화산을 감시하는 일을 열심히 해나가요. ‘나도 ... 이하토부를 힘들게 하는 시련은 모두 자연재해예요. 냉해, 병충해, 가뭄, 화산 폭발…. 그 속에서 사람들은 먹을 것이 없어 숲을 헤매고, 말라버린 논에서 슬퍼하고, 정든 땅을 버리고 멀리 대피해야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2012년 06호

    생길 수 있다. 자연적으로 생긴 싱크홀과 달리 도심에 생긴 싱크홀은 큰 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나가는 사람이 다치거나 교통에 혼란이 오는 것은 ...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4습격한 싱크홀은 허리케인이 쏟아 부은 빗물이 화산재층을 함몰시켜 만든 사례다.우리나라에서도 싱크홀이 점점 자주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09호

    황금’이라고 불린답니다. 바다 속 화산, 해저열수광상열수광상은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에서 해저 지각의 틈새를 따라 ... 수 있었답니다심재설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 재해연구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나와 함께한 해양관측은 재미있었나? 이제 바다를 관측하고 탐사하고 ...

  • 2011 세계보도사진전

    2011 세계보도사진전

    과학동아 2011년 08호

    새가 땅에 내려 앉는 모습’이 받았다. 이밖에도 지진, 홍수, 화산 등 자연재해와 관련된 사진이 많았고 기근, 난민, 분쟁 등 전통적으로 많이 다룬 주제도 다양한 사진이 선정됐다. 수상작들은 인간이 해결하지 못한 숙명적 현실과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야 할 자세를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기간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2011년 08호

    2005년 8월 미국 뉴올리언스에 상륙했던 허리케인 카트리나를 비롯해 태풍, 화산, 지진, 쓰나미, 지구 온난화 등 인류에 큰 피해를 일으켰던 대표적인 자연재해 11가지를 설명한다. 총 4장으로 구성해 각 장마다 천재지변이 일어나는 과학적인 원리와 최근 연구되고 있는 예방책을 소개한다. 책의 끝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2011년 05호

    것으로 보인다. 이 분석에 따르면 많은 양의 화산재가 한반도에 내리쬐는 태양빛을 약 두 달간 ... 기상청은 일본 및 중국의 관계기관과 함께 자연재해 통제시스템을 포함해 좀더 정확하게 ... 것으로 기록돼 있다. 한편 일본에 있는 13개의 휴화산들은 지난 3월 11일 지진의 여파 이후 분화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