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과학동아 2023년 06호

    것 실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척자라면, 테라포밍이라는 거창한 꿈을 좇기보다는 우선 상황에서 가치가 높은 땅을 찾는 것도 좋겠다. 화성 개척자들에게 가장 귀한 자원은 물이다. 우주선의 연료를 얻기 위해서도(1파트 참고), 식수를 얻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그리고 화성의 지하에는 물이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

    과학동아 2023년 06호

    유전학적 생쥐 모델과 수학적 모델링을 접목해 줄기세포 간의 경쟁 과정을 연구했다. 재는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줄기세포 조절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minkyu.yum@kaist.ac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

    과학동아 2023년 06호

    이원철이 마치 새로운 별을 발견해 이름을 붙인 것인양 받아들였다. 이런 척박한 실에서는 박사 학위가 있느냐 없느냐를 떠나서 누군가 한국인으로서 전문적인 과학 연구를 한다는 것 자체가 반갑고 고마운 일이었다. 그 연구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인정받는 연구라면 더 말할 나위 없는 일이다 ...

  •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

    과학동아 2023년 05호

    전망했다. 인간 대상 실험에서는 기술보다 더 중요한 이슈가 있다. 윤리 문제다. 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유전자 편집으로 ‘맞춤형 아기’를 탄생시키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2018년 허젠쿠이 전 중국 남방과기대 교수는 윤리적 논의 없이 유전자 편집 아기를 탄생시켰고 징역 3년형을 받아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

    과학동아 2023년 05호

    대덕특구에 모여있긴 하지만 폐쇄적인 구획 부지 내에 각각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재 대전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대덕특구의 향후 50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대덕특구가 출범 10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도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

    과학동아 2023년 03호

    우리 삶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기기는 디지털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시대의 탄소발자국 대부분은 디지털 탄소발자국일 수 있다는 거지요. 앞으로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더욱 커져갈 겁니다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3호

    증가한다면 2100년 정도에는 지금보다 훨씬 여름이 늘어나고, 겨울은 줄어들 것입니다. 재보다 짧아지긴 하겠지만 영하 10℃ 이하의 혹한 역시 여전히 찾아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상 기후로 인한 폭염과 혹한이 동시에 찾아오는 거죠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

    과학동아 2023년 03호

    역할을 고려할 때, 청보다 상위 조직을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다음으로 “재 행정조직법 상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형태”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40%를 차지했다. 과기정통부 산하의 청이 적합하다는 답변은 6%였다. 과학동아와 이야기를 나눈 연구자들은 입을 모아 “부처 간에 흩어져 있는 ...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

    수학동아 2023년 01호

    김재욱 KIST 인공뇌융합연구단 박사는 “인공지능이 배운 것을 잊지 않게 하는 것이 인공지능 학계의 난제 중 하나”라면서, “이번 연구는 사람의 수면을 모방함으로써 이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어요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2023년 01호

    겨자)을 얻을 수 있고, 이 6가지 배춧과 작물 간 게놈의 관계는 위와 같이 삼각형으로 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우장춘의 삼각형(U’s Triangle)’은 식물에서는 종간 교잡을 통해 새로운 종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연구 결과였고, 지금까지도 세계적으로 자주 인용되고 있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