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2019년 05호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조언도 들었다.    400개 근육 중 가장 중요한 8개 근육해부학적으로 본인에게 적합한 랩 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발성역학적다차원측정법’이라는 더욱 정교한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예송이비인후과는 2005년 신체 근육 측정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

    과학동아 2019년 03호

    무성하고 축축한 수풀에서는 걷거나 기는 것보다 지면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것이 이동하기 수월하다.초원지대에서 생활하는 캥거루, 왈라비 등 유대류가 두 발로 뛰어오르는 능력을 갖게 된 이유다. 하지만 이들이 언제 이 같은 능력을 처음 획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최근 스웨덴자연사박물 ...

  •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2019년 03호

    뼈 속에서 새로운 종류의 미세혈관이 발견됐다. 해부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마티아스 군제르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23호

    같은 만화입니다.  Q 만화와 곤충 공부를 동시에 하는 게 어렵진 않나요? 아주대학교 해부학과 교수면서 만화를 그리는 정민석 선생님이 한 농담 중에 좋았던 게 있어요. 학술지의 표지 논문을 12번이나 했는데, 그 이유가 그림을 잘 그려서 논문 표지가 예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제가 볼 땐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7호

    : 네스호 괴물이 정말 있을까요? 아무도 모르는 일이죠. 닐 겜멜(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해부학과 교수) Q어떻게 네스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나요?지난 3~4년 동안 환경DNA를 이용해 뉴질랜드 바다에 어떤 생물들이 살고 있는지, 해양 생태계가 침입종이나 기후 변화 등으로 어떻게 변하고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과학동아 2018년 12호

    1505년 이탈리아의 천재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의 몸 구조와 새의 비행 원리를 해부학과 생리학 지식을 동원해 연구했다. 그 결과 새의 날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 압력 차이가 존재해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는 힘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훗날 과학적으로 증명된 ‘양력’이다. 190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2018년 11호

    모양으로 튜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그 비밀은 2009년 타카시 미우라 일본 교토대 해부학과 교수팀이 튜링 모형을 이용해 밝혔습니다. 손가락 생성의 비밀손가락이 생기는 과정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은 처음부터 완성된 다섯 개의 손가락으로 나뉘어 있지 않고 하나의 덩어리에서 다섯 개의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

    과학동아 2018년 10호

    자라면서 골조직이 생산되고 봉합선이 닫히게 된다. 송우철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해부학교실 교수는 “두개부의 뼈는 뇌가 성장하면서 같이 자란다”며 “뇌 크기가 진화하면서 두개부 뼈의 크기도 진화했다”고 설명했다.현재 1300~1500cm3인 인간의 뇌는 진화를 거쳐 점차 부피가 증가했다. ...

  • [Origin] 한국 첫 과학 교과서를 소개하오

    [Origin] 한국 첫 과학 교과서를 소개하오

    과학동아 2018년 10호

    1906년은 한국 과학사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서양의학을 우리말로 번역한 최초의 책 ‘해부학(1~3권)’과 최초의 화학 교과서, 물리 교과서가 차례로 출간된 해이기 때문이다. 당시의 과학 교과서는 지금과 얼마나 달랐을까. 주요 내용을 발췌해 그래픽으로 구성했다.  

  • 신과 함께? CG와 함께!

    신과 함께? CG와 함께!

    수학동아 2018년 09호

    작업이라 수학, 물리학, 프로그래밍이 중요해요. 심지어 살아있는 생물을 표현할 때는 해부학까지 공부하기도 한다네요. 머리가 점점 복잡해진다고요? 걱정하지 마세요. 어려울수록 기본을 기억하면 됩니다. 점, 선, 면, 점, 선, 면…. 그럼 점, 선, 면을 떠올리며 아래 그림을 따라 호랑이 털을 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