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2023년 01호

    지나칠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아는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의 발명이 아니라면?한국과학사 연구자 김태호 교수에게 우장춘의 진실에 관해 들어보자.오해1.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이 발명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해다. 1955년 7월 30일 영남일보에는 “우장춘 박사 환영회 겸 ‘씨 없는 수박’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

    과학동아 2022년 12호

    만약 내일부터 내가 원하는 대로 인터넷을 쓸 수 없다면? 인터넷에서 보고 싶은 영상을 못 보고,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한다면? 1982년 한국 최초의 인터넷으로 평가받는 SDN이 설치된 지 40년이 지났지만, 망 사 용료 논쟁처럼 아직도 인터넷을 둘러싼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인터넷의 어떤 점이 문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2022년 08호

    2041년 한국은 최초의 유인 달 탐사선 ‘치리호’의 발사를 6개월 앞두고 있다. 치리호의 발사는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펼치는 우주 경쟁 속에서 한국이 한몫할 기회로 꼽힌다. 한편, 땅 위도 평탄하지만은 않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결식아동,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도 아직 충분한 지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

    과학동아 2021년 11호

     고대부터 날씨와 기후를 조절하는 바람과 물의 움직임은 예측 불가능하고 알 수 없는 것으로 취급됐다. 현대에 들어 기후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지만, 수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인류가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

    과학동아 2021년 07호

    매일 과학의 현장으로 출근한다. 달력을 가득 메운 인터뷰 일정을 따라 달리는 차 안은 이동하는 도서관처럼 참고 서적들이 즐비하다. 트렁크엔 내 삶을 송두리째 변화시킨 카메라와 조명, 그리고 렌즈가 가득하다. 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다. 구체적으로는 과학교육 영상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일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

    과학동아 2019년 09호

    우리가 아는 생명체 중에 종교를 가진 건 아직 인간이 유일합니다. 그런데 종교는 생명체가 지성을 갖는 과정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인간만의 고유한 특성일까요? 만약 인공지능이 발달한다면 인간처럼 종교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요? 혹은 종교적인 깨달음을 얻는 것도 가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2019년 03호

    과학자 박화영의 죽음을 아는가.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조선인 과학자였다. 하지만 그는 1941년 3월 고등학생 때부터 참여했던 연구회가 일제 검찰에게 발각돼 조사를 받던 중 4일 만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혹독한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2019년 03호

    ‘애기똥풀’ ‘바람꽃’ ‘놋젓가락나물’ ‘감태나무’ ‘흰새더기’ 등이 있다.한국과학사학회지 제40권 제3호(2018년)에서 조선식물향명집에 관한 논문을 발표한 아마추어 식물학자 조민제 씨(법무법인 시공 소속 변호사)는 “근대 분류체계가 도입되기 전에는 주로 기능에 따라 식물 이름을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2018년 12호

     국립과천과학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11월 14일 ‘한국과학문명관’을 새롭게 열었다. 한국과학문명관은 전통과학관을 새롭게 개편했다. 기존의 전통과학관이 선조들이 남긴 과학 문화유산을 나열하는 방식이었다면, 한국과학문명관은 전통과학기술을 한국 문명을 이끈 원동력으로 해석한다.  ...

  • [Origin] 한국 첫 과학 교과서를 소개하오

    [Origin] 한국 첫 과학 교과서를 소개하오

    과학동아 2018년 10호

    1906년은 한국 과학사에서 각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서양의학을 우리말로 번역한 최초의 책 ‘해부학(1~3권)’과 최초의 화학 교과서, 물리 교과서가 차례로 출간된 해이기 때문이다. 당시의 과학 교과서는 지금과 얼마나 달랐을까. 주요 내용을 발췌해 그래픽으로 구성했다.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