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슬라임 어떻게 만들까

    [특집] 슬라임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2호

    “보통 슬라임을 갖고 놀다 보면 PVA가 피부의 수분을 앗아간다”며 “사람들의 피부에 오히려 보습 효과가 있는 슬라임을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어요. 그래서 미역과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서 나오는 점액과 화장품 성분을 섞어 만든 목욕 제품을 슬라임으로 만들었지요. 케피의 정한나 대표는 ...

  • [과학 뉴스] 멸종 위기 북부흰코뿔소, 원시생식세포로 복원한다!

    [과학 뉴스] 멸종 위기 북부흰코뿔소, 원시생식세포로 복원한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2호

    다양한 유전자를 남기긴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바이오레스큐 연구팀은 “나비레의 피부조직으로부터 만든 원시생식세포로 더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지닌 정자와 난자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요. ●줄기세포 : 뼈, 뇌, 근육 등 여러 종류의 각기 다른 세포로 자랄 수 있는 능력을 ...

  • 질문하면 답해 ZOOM!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2호

    털이 짧은 코 주변을 자세히 관찰하면 털 아래 검은 피부색을 확인할 수 있죠. 이런 검은 피부를 투명하고 색소가 없는 털이 덮고 있는 거예요. 이 털이 빛을 산란시켜 우리에게는 북극곰이 하얗게 보이는 거죠. 우리가 북극곰에 대해 잘 모르고 있던 사실은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북극곰은 시속 4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

    과학동아 2023년 01호

    만들어지면 그 소리를 측정해 영상을 만듭니다. 광음향 영상기술이 각광받는 이유는 피부 수cm 아래 생체조직을 수술 없이 ‘눈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생체조직의 모양과 색을 시각적으로 구분해 질병을 진단합니다. 하지만 심부에 위치한 생체조직은 빛을 산란시켜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

    수학동아 2023년 01호

    마지막 점수였다. 막상 본인의 손끝으로 아버지의 등급을 적고 나니 그의 죽음이 조금은 피부로 와닿는 것 같았다. 하지만 설진은 이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다. 안스리움은 나름 고상한 식물인데 어련히 잘 살아가겠지 하며 단순하게 생각해 버렸다. 그럼에도 13804라는 낮은 수치가 도통 ...

  • 질문하면 답해 ZOOM!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4호

    모양대로 만들기 쉽고 접착 강도도 높아요. 그래서 문신 스티커는 오랫동안 튼튼하게 피부에 잘 붙어 있을 수 있답니다.    Q 가위눌리는 현상은 왜 일어날까요? 김승주A 잠을 자다가 정신은 깼는데 몸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가위눌렸다’라고 말해요. 의학적으로 이런 증상을 ...

  • [특집] 당신의 기자 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 과학동아 어워드

    [특집] 당신의 기자 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 과학동아 어워드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3호

      어과동 기자들이 독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정면 승부를 벌입니다! 어과동 기자 어워드가 올해로 벌써 5년째를 맞이했어요. 5명의 기자가 고심해서 선정 ... !Part4. [특집] 여기가 초원이야? VR 마취(?) 등장!Part5.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Part6.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

  •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3호

    검은색 청개구리가 많이 살아남은 비결은 ‘멜라닌’이었습니다. 멜라닌은 생명체의 피부가 검은색을 띠게 하는 색소로, 방사선을 흡수해 유전자 변형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연구팀은 사고 당시 멜라닌이 풍부한 검은 청개구리들이 방사선의 영향을 덜 받아 더 많이 살아남았고, 까만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3호

    있는 경우도 있는데, 적당한 두께의 각질층은 미세먼지 등 외부 물질의 침입을 차단하고 피부의 수분이 쉽게 증발하지 a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답니다.케라틴은 다른 동물들에게도 중요한 단백질이에요. 고래의 수염이나 새의 깃털도 케라틴으로 구성되어있죠. 코뿔소의 뿔도 뼈가 아니라 ...

  • [가상 인터뷰] 모기에 나만 물린다면? 피부 미생물 탓!

    [가상 인터뷰] 모기에 나만 물린다면? 피부 미생물 탓!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2호

    거죠?카복실산은 탄소, 산소, 수소로 이뤄진 화합물로, 사람의 피지에도 존재해요. 피부에 사는 유익균들이 피지를 먹이로 삼아 먹어 치우는 과정에서 카복실산이 만들어지죠. 주목할 점은 카복실산이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는 사실! 카복실산의 양이 많을수록 발냄새나 치즈와 비슷한 냄새가 나는데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