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2호

    터질 모양이네?!●크릴  크릴은 새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혀 다른 종이에요. 동물성 플랑크톤의 한 종류로, ‘난바다곤쟁이목’에 속하지요. 크기도 1~5cm로 매우 작아 ‘작은 물고기 튀김’을 뜻하는 노르웨이어 ‘크릴(krill)’에서 이름이 유래했어요.크릴은 주로 남극에 살아요. 그 양이 약 5억 ...

  •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

    남극 생태계의 핵심! 크릴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2호

    추측해 볼 수 있겠죠. 그럼 크릴은 왜 줄었을까요? 크릴은 주로 바다 얼음 아래 사는 식물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데, 온난화로 바다 얼음이 감소하면 크릴의 먹이도 줄겠죠. 또한, 펭귄 수 감소는 이들의 포식자인 도둑갈매기나 표범물범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이렇듯 펭귄, 크릴의 변동을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1호

    조금만 열면 증산작용이 감소해 기온이 올라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식생이나 해양 속 플랑크톤과 같은 생물들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어요. 그리고 이 반응이 북극의 기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요. 그 결과, 이산화탄소가 현재보다 2배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1호

    유럽의 발트해 지역에서 빗해파리를 수집해 관찰했어요.  그 결과 서식지역에 먹이인 플랑크톤이 줄어도, 빗해파리 성체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반면 새끼들의 개체수는 9월에 폭발적으로 늘었다가 10월에 급격히 줄어들었지요. 새끼들이 태어난 이후 빗해파리 성체와 새끼의 수가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0호

    모양이에요. 이 생물의 정체는 관해파리(Siphonophore)과 아폴레미아(Apolemia)속에 속하는 플랑크톤의 한 종류로, 여러 마리가 군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무성생식으로 늘어난 개체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몸의 일부가 연결된 무리를 군체라고 해요. 군체 안에서 어떤 개체는 먹이를 ...

  • [극지 위성 탐사] 우주적 스케일로 극지를 보다

    [극지 위성 탐사] 우주적 스케일로 극지를 보다

    과학동아 2020년 09호

    극지의 사계절과 거대한 얼음을, 눈 속에 숨겨진 크레바스와 바다를 초록색으로 물들인 플랑크톤을 인공위성으로 바라본다. 수백km 상공에서 들여다본 극지의 특별한 모습을 소개한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PART 1. [북극] 기후변화의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2020년 09호

    덮쳐 이상저온과 함께 눈보라가 몰아친다. 한반도 역시 영향권에 들 수밖에 없다. 플랑크톤이 풍부한 남극 바다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대거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고이자 이를 산소로 바꾸는 산소 공장이다. 이대로라면 지구의 생물학적 펌프(biological pump)가 고장 날 수도 있다.  사실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2020년 09호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해안가 언덕에는 극지연구소 연구자들이 관리하는 ‘펭귄 마을’이 있다. 펭귄 마을에는 턱 ... 남극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아무도 모른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를 발 빠르게 추적하며 그 답을 찾고 있다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2020년 06호

    생명 위협하나?☞“인체 영향은 말할 단계 아냐” 미세플라스틱이 동물성 플랑크톤부터 어류, 사람까지 먹이사슬에 따라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그 농도가 증가하는 생물농축확대(biomagnification) 현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를 밝혀줄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9호

    주변 바다는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뜻한 난류와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한류가 만나, 플랑크톤이 풍부하고 난류와 한류에 사는 물고기가 모두 모이는 황금어장이지요. 계절마다 볼 수 있는 물고기가 달라 다양한 바다 생태계를 자랑해요.독도 바다는 사람의 발길이 드물어 환경이 비교적 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