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7호

      #통합과학 넓히기여름엔 직모보다 곱슬머리가 더 시원하다?! 인류는 진화하면서 다른 포유류 동물과는 다르게 몸의 털이 점점 줄어들었어요. 털로 감싸는 대신 땀을 흘려서 체온을 유지했죠. 그러면 왜 머리에만 털이 남아 있을까요? 최근 머리카락이 뜨거운 태양 빛을 막아 머리를 시원하게 ...

  • [과학뉴스] 간지러워 웃는 쥐, 웃음 조절 뇌 영역 밝히다!

    [과학뉴스] 간지러워 웃는 쥐, 웃음 조절 뇌 영역 밝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7호

    본능적이라는 것을 시사합니다. 마이클 브레히트 교수는 “수도관 주위 회색질이 다른 포유류 동물의 놀이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2023년 12호

    연구 주제다. 2005년 펭귄 똥 연구가 이그노벨상 유체역학상을 수상했고, 2015년엔 포유류 오줌 연구가, 2019년엔 웜뱃의 똥 연구가 각각 이그노벨상 물리학상을 받았다. (10) 코로나19 종식에 기여한 mRNA 백신, 노벨상 수상모더나나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다면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이 좀 더 특별하게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2023년 11호

    살던 초식동물이었다는 주장이다. 암슨 큐레이터는 “실제로 매너티 등 초식성 해양 포유류는 페루세투스처럼 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페루세투스가 실제로 초식성 고래였을지는 추측의 영역에만 있다. 지금까지 초식성 고래가 발견된 바가 없기 때문이다.‘세상에서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

    과학동아 2023년 11호

    진화의 산물일지도 모릅니다. 존 앨런 신경문화인류학자는 저서 ‘미각의 지배’에서 포유류의 오랜 먹이가 곤충이었고, 곤충이 바삭거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죠. 달콤하면서 바삭거리기도 하는 탕후루의 인기는 어쩌면 예견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깨진 설탕은 깨진 유리만큼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1호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연구팀이 이끈 연구에선 인간이 가진 유전자 중 10%는 거의 모든 포유류에게서 오랫동안 보존됐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용어 설명*디프테리아 : 디프테리아균이 뿜어내는 독소에 감염돼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어린이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

  • [과학뉴스] 지구 생물 절반 이상이 토양에 산다

    [과학뉴스] 지구 생물 절반 이상이 토양에 산다

    과학동아 2023년 10호

    배에 달한다. 균류의 90%, 식물의 85%, 박테리아의 50% 이상이 토양에 서식했다. 인간과 같은 포유류는 3%로 토양 생태계와 가장 관련이 적은 생물군이었다. 다만 이번 연구의 추정치는 오차 범위가 15%로 커서, 평균 예측률은 44%~74%에 그쳤다. 연구를 이끈 앤서니 연구원은 “추정치에 큰 오차 범위가 ...

  • [가상인터뷰] 원시 포유류, 몸집보다 더 큰 공룡 잡아먹었다

    [가상인터뷰] 원시 포유류, 몸집보다 더 큰 공룡 잡아먹었다

    과학동아 2023년 09호

    레페노마무스가 공룡을 직접 사냥 중이었던 거죠.  캐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포유류가 거의 다 자란 공룡에게도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화석”이라고 했어요. 그러니 이제부턴 저에게 말 조심하셔야겠죠 ...

  • [과학뉴스] 범고래 엄마는 늙어도 아들 사랑꾼

    [과학뉴스] 범고래 엄마는 늙어도 아들 사랑꾼

    과학동아 2023년 09호

    암컷이 왜 계속 사는지를 설명하기 어려웠다. 실제로 폐경 후에도 자연 수명을 이어가는 포유류는 인간과 이빨고래 5종 정도에 불과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나이든 어미 범고래가 물고기를 잡아와 가족에게 먹이는 모습이 관찰된 적 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폐경 후의 어미 범고래가 오랫동안 ...

  • [논문탐독] 시간이 흐르지 않아도 늙는다? 이질성 혈액교환

    [논문탐독] 시간이 흐르지 않아도 늙는다? 이질성 혈액교환

    과학동아 2023년 09호

    다른 종도 병체결합 실험에 성공한 바 있지만, 설치류는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고등 포유류와 달리 상처 감염에 대한 저항성도 높습니다. 그런 까닭에 대부분의 병체결합 연구는 쥐를 이용해 이뤄지고 있습니다. 병체결합의 선구적 연구로 베르는 1866년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실험생리학상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