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2010년 04호

    가지가 넘는 수학공식과 법칙을 설명하며 화면 아래쪽에 대수학, 미적분, 기하학 정보를 으로 분류해 검색이 용이하다. 최근 물리학에서 일어나는 연구성과나 뉴스를 받아 보고 싶다면 ‘아이피직스업데이트(iPhysics-Updates)’가 제격이다. 아이폰의 푸시 기능을 이용해 최신 뉴스가 자동으로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2008년 10호

    낭비를 막아 준다. 컴퓨터를 끄면 주변기기도 함께 꺼지기 때문에 편리하다. 체크은 지난 4월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제네바 국제발명전에서 아시아 최초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난 필요가 발명의 어머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내 생각에 발명은 한가함과 게으름에서 태어난다. 귀찮은 일을 ...

  • 비스타 반길 것인가, 외면할 것인가?

    비스타 반길 것인가, 외면할 것인가?

    과학동아 2007년 03호

    간극을 매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스타의 ‘에어로’라는 투명 효과와 ‘윈도키-’으로 3차원 화면을 전환하는 기술은 신기하다. 그런데 이는 맛보기에 불과하다. 비스타는 일반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자도 웹사이트를 제작하듯 3차원의 미려한 화면을 만들 수 있게 해 줄 기술을 내장했다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2005년 02호

    기술이 구현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구현되지 않는다. 웹에서 수식을 표현하는 이나 음성인식 기능도 파이어폭스에서만 가능하다.물론 아직까지 파이어폭스를 쓰기에 불편한 점은 있다. 윤석찬 팀장은 “거의 모든 웹 사이트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구동되도록 만들어진 것이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

    과학동아 2002년 01호

    탐험­대발견!’시리즈는 입체북이다. 말 그대로 돌아가는 그림과 투명비닐면, 플랩과 등 다양한 장치로 과학을 재미있게 접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구성한 책이다. 아동도서 이외에는 이렇다할 입체북이 없는 우리나라에 중·고등학생 이상의 일반인들이 볼 수 있는 입체북이 ...

  • 거울 보는 돌고래?

    거울 보는 돌고래?

    과학동아 2001년 06호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실험에 사용된 돌고래는 13년 된 프레스리와 17년 된 이다.연구팀은 먼저 연습삼아 돌고래의 몸에 표시를 하고, 거울 앞에서 돌고래가 이것을 볼 수 있게 하는 실험을 반복적으로 실시했다. 그 다음 돌고래의 몸 곳곳에 무독성의 검은 잉크를 칠하고 반응을 살핀 결과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1999년 09호

    파일들이 화면에 떠다닌다. 그림을 바꾸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settings → Pictures을 눌러 그림 파일을 새로 추가하거나 이전에 있는 파일을 지울 수 있다. 셰어웨어 버전의 경우 8개까지만 고를 수 있다. 이외에 슬라이드쇼 메뉴에서는 화면에 떠다니는 효과 등을 지정할 수 있다 ...

  • 내 PC 멀티미디어로 활용하기

    내 PC 멀티미디어로 활용하기

    과학동아 1999년 07호

    설치되는데, 이를 확인하려면 다시 '제어판을 열어 '멀티미디어' 항목을 선택한 후 '장치' 을 클릭한다. 여기에서 비디오 압축 코덱과 오디오 압축 코덱 항목이 설치돼 있음을 확인하면 된다.이렇게 했는데도 데이터가 제대로 재생되지 않으면 앞서 소개한 윈도 미디어플레이어를 설치해 주어야 ...

  •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과학동아 1999년 02호

    올해도 어김없이 컴퓨터 바이러스가 창궐할 것이다.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최근에 출생한 녀석들. 이들은 과거의 백신만 믿고 방심하는 컴퓨터 상요자들 ... 마지막으로 플로피디스크 1장에 시스템 파일과 함께 백신 프로그램을 넣어두고 쓰기 방지을 걸어놓으면 비상시 활용할 수 있다 ...

  • 자넷 리와 함께하는 당구물리학

    자넷 리와 함께하는 당구물리학

    과학동아 1997년 11호

    바르면 과 당구공의 마찰이 커져서 당구공의 회전과 이동방향의 조절이 좀더 쉬워진다.에 침을 바르고 큐로 당구공을 때릴(이하 ‘샷’이라고 함) 때나 쵸크를 전혀 바르지 않고 샷을 했을 때는 당구공에 회전을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당구공이 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것은 큐와 당구공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