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 우리야. 너희 아빠와 나.” 아버지 몸이 파르르 떨리고 있었다. 마지막 촛불을 태우는 것 같았다. 홀로그램으로 고개를 돌렸다. 그제야 저 멀리 방파제를 걷는 젊은 남녀가 보였다. 하늘에서 원근으로 보여지던 이미지가 마치 줌을 당기듯 인물의 얼굴까지 확대해서 잡혔다. 아버지와 ...
이끈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제프리 호지슨 박사는 “이번에 검증한 새로운 표준촛불 후보는 천문학에서 가장 먼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에필로그“어? 저기 잭이 내려오고 있어요!”꿀록 탐정이 콩나무 위쪽을 가리키며 외쳤어요.“잭~! ...
팃포탯, 프랙탈, 푸아송분포, 지수함수 등 다양한 물리학적 개념을 이용해 광화문 광장의 촛불시위가 왜 우주의 암흑물질과 닮았는지, 배우이자 가수인 차은우와 저자의 어떤 공통점이 중력파 검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지 이해시킨다. 이런 게 ‘관계의 과학’이라면서 말이다. ● 만화로 보는 ...
밝혀이제 독자 여러분이 상상력을 발휘할 시간이 됐다. 칠흑 같은 체육관의 한쪽 끝. 촛불을 켠 뒤 바로 코앞에서 감자에 쇠 젓가락을 꽂은 채 빙빙 돌린다. 이제 체육관 입구에 서서, 반대편에 선 친구가 돌리고 있는 감자 모양을 본다. 뭐가 보일까? 작은 점(감자)이 환했다가 어두워지기를 반복할 ...
하지만 19세기까지도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양초를 광도의 기준으로 삼았다. 일본은 촛불 한 개의 밝기를 ‘1촉(燭)’이라 정의한 반면, 영국은 향유고래기름에 밀랍을 섞어 만든 양초가 시간 당 약 7.78 g씩 소모되며 내는 빛의 광도를 영국국회촉광으로 정했다.프랑스는 겨자과 식물인 유채 기름을 ...
흑연, 풀러렌, 무정형탄소와 함께 크기가 2~5nm 수준인 나노 다이아몬드가 대거 발견됐다. 촛불의 경우 아래쪽은 500도 가량이지만, 바깥쪽은 1400도에 이를 만큼 부위에 따라 온도 차이가 크다. 연구진의 분석 결과 불꽃 하단부에서 상층부로 갈수록 나노 다이아몬드 입자 수가 많아지고, 크기도 ...
함께 축하해 준 일이랍니다. 친구들과 함께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고 생일 케이크 촛불도 껐어요. 예쁜 케이크도 나누어 먹었지요. 헬로키티 모양의 달콤한 딸기 케이크가 참 맛있었어요. 헬로키티 생일을 친구와 함께 축하할 수 있어서 참 기뻤어요. 생일 파티를 마치고 헬로키티 방을 구경했어요. ...
모아 열을 가하자 무색의 기체가 발생했지요. 기체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기체 속에 촛불을 넣자 불꽃이 더 커졌어요. 바로 산소를 발견한 거예요.사실 산소는 스웨덴 화학자 ‘칼 빌헬름 셸레’가 2년 전에 먼저 발견했어요.그럼에도 프리스틀리가 셸레보다 먼저 논문을 발표했기 때문에 그에게 ...
양초에 불을 붙인 뒤 제품을 올려놓기만 하면 LED가 켜지는 램프예요. 그런데 어떻게 촛불로 LED 램프를 켤 수 있을까요? 핵심 원리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 주는 ‘제벡효과’예요.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의 양끝을 연결해 전기회로를 만든 뒤, 한쪽에만 열을 가하면 온도 차이가 ...
더 높고, 구조가 간단해서 대부분의 배에서 사용되고 있답니다. 실험 방법 하나. 촛불로 달리는 배 이 배가 움직이는 비밀은 음료수 캔 안의 기체에 있다. 양초로 음료수 캔이 달궈지면 그 안의 물이 끓어서 수증기가 된다. 계속 가열하면 수증기 분자들은 더 활발하게 움직이고, 그 결과 기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