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2010년 10호

    X선은 사람의 몸을 통과할 수 있다). 즉 깊은 곳으로 갈수록 적색광은 잘 통과하지 못하며 청색광만이 통과하기 때문에 깊은 곳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붉은색 광합성 색소를 주로 갖고 있을 것이다. 요컨대 빛의 파장과 수심의 관계 때문에 환경의 차이가 발생했고, 깊은 곳으로 갈수록 홍조류가 많이 ...

  • '조명'받는 LED 조명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2010년 03호

    교수팀과 LED조명으로 채소를 재배하는 실험을 통해 최적의 조명 조합비를 찾아냈다. 즉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을 3 : 1로 했을 때 식물 생장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이 회사는 현재 100m2 규모의 LED조명 식물공장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데, 4월쯤 시범생산이 이뤄질 거라고 밝혔다. 폭 99m 초대형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2003년 04호

    바뀌어 빛을 인식하게 만드는 광수용체가 존재한다. 식물에는 세 종류의 광수용체, 즉 청색광 수용체(크립토크롬), 자외선 광수용체, 적색광 수용체(피토크롬)가 존재한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식물은 세 종류의 눈이 있는 셈이다. 이 가운데 광주기 인식에 주로 사용되는 광수용체가 바로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1999년 08호

    접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간상세포는 명암의 구별에 관여하고 원추세포에는 적색, 녹색, 청색광에 예민한 세 종류의 세포가 있어 색깔을 구별할 수 있다.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범위의 빛 파장은 우리가 지닌 시각색소가 그 빛의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원추세포에는 빨강 영역을 보는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과학동아 1994년 10호

    노랑과 빨강 불빛 근처)의 값을 기준으로 했다. 물론 이보다 파장대가 낮은 녹색이나 청색광에서도 피크가 형성되나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고(그림1 참조), 광공해의 주요한 원인이 주로 노랑과 빨강빛 때문이라는 판단 아래 피크값 하나만을 선택했다.이 결과를 놓고 볼 때 직할시나 특별시(울산도 ...

  • 식물, 밤 낮 구분하는 눈 있다

    식물, 밤 낮 구분하는 눈 있다

    과학동아 1994년 08호

    모든 종자가 발아해 있었다.한편 그 동안 계속 어두운 곳에 둔 샤레, 또는 적색광 대신 청색광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근적외선을 몇분간 비춘 샤레에는 발아한 종자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 실험에서 중요한 점은 적색광과 근적외선을 번갈아 가면서 조사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종자발아의 결과이다. ...

  • 나무는 왜 푸를까

    나무는 왜 푸를까

    과학동아 1988년 05호

    빛을 흡수하는 광합성 색소가 진화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적색광과 청색광흡수의 최고점은 거의 정확하게 박테리오로돕신의 녹생광 흡수의 최고점을 보충한다. 침전물에 사는 오늘날의 광합성 박테리아도 이점에서 유사하다.그렇지만 현대의 박테리아는 위에서 유영하는 자주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