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2008년 03호

    꼬리가 없는 양서류)와 도롱뇽류(유미류, 꼬리가 있는 양서류)로 나뉜다. 개구리류에는 참개구리, 금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 황소개구리,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 두꺼비, 물두꺼비, 맹꽁이 등 13종이 있다. 도롱뇽류에는 도롱뇽, 고리도롱뇽,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2004년 06호

    이봉진 교수팀이 아미노산의 수를 11개로 줄이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청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같은 토종 개구리에서 항생 펩티드를 분리한 후 이 물질을 개량해 효과가 탁월한 항생제를 개발했다. 토종 개구리로 만든 이 항생제는 기존 개구리 항생제보다 약 크기가 작고 흡수가 잘 되는 등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2000년 01호

    6월 무렵 어둠이 시작되면 저수지 주변 진흙 위에서 울기 시작한다. 청개구리나 참개구리처럼 울음주머니가 따로 발달돼 있지 않아 소리는 가까이 다가가야 들릴 정도로 작다. ‘따르르 따르르’ 하는 것이 마치 빨래판 위를 젓가락으로 긁을 때의 소리같다. 옴개구리의 울음소리는 몸집의 크기에 ...

  • 참개구리 울음소리가 사라진다

    참개구리 울음소리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1997년 03호

    cm다. 참개구리보다 3배 정도 긴 셈이다. 몸무게를 비교하면 황소개구리는 평균 2백80g으로 참개구리보다 10배 정도 무겁다.황소개구리의 먹이는 무차별적이다. 곤충의 유충과 성충(73.2%), 거미(7.0%), 갑각류(5.0%), 양서류(3.5%), 복족류(2.8%), 어류(2.1%) 순으로 포식했다는 보고가 있다.한번은 양서류 ...

  • 동물들의 겨울잠·여름잠 추위와 더위, 건조함을 이기는 생리기능

    동물들의 겨울잠·여름잠 추위와 더위, 건조함을 이기는 생리기능

    과학동아 1989년 01호

    참개구리가 겨울잠을 자고 있는 모습을 가끔 볼 수 있다. 늦은 가을에 양지바른 곳에서 참개구리가 땅을 파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개구리는 앞다리로 버티고 뒷다리로 흙을 파헤치면서 몸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점점 땅속으로 파고 들어간다. 또한 이듬해 새싹이 돋는 봄에 겨울잠에서 깨어나면 ...

  • 무등관찰클럽이 찍은 생태계의 신비

    무등관찰클럽이 찍은 생태계의 신비

    과학동아 1988년 06호

    되었읍니다."  메뚜기의 알낳기와 탈바꿈, 망가진 거미집을 수리하는 거미의 작업광경, 참개구리가 포접하고 있는 순간―이같은 자연생태계의 생생한 모습들을 포착, 촬영하고 연구해온 교사모임이 화제가 되고 있다. 광주를 중심으로 전남지역에서 활동중인 '무등관찰클럽'. 이들은 85년과 8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