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

    수학동아 2016년 10호

    파이도표라고도 합니다.원그래프는 부분의 비율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어떤 대상을 질적 혹은 양적으로 분류할 때 주로 사용하며, 백분율(%)로 나타내면 더 효과적입니다. 원그래프를 그릴 때에는 먼저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계산한 다음 각 부분의 중심각을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2016년 06호

    이제부터는 처음부터 국내 연구자가 연구를 주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초과학 연구의 질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한국이 첨단 연구의 중심이 될 수 있다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2016년 05호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합성생물학으로 만들어지는 생명체가 기존의 GMO와는 질적으로 다른 환경위해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미생물의 특정 유전자가 삽입된 콩은 GMO의 일종이지만 생물학적으로 여전히 콩이다. 그런데 합성생물학으로 콩의 최소유전체에 다양한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2016년 05호

    진행된 이후부터는 주로 법의곤충학이나 법의인류학적 분석에 의존한다.최근에는 질적 연구보다 양적 연구를 중요시해 부패 과정에 개입하는 변수를 효과적으로 수량화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예를 들어 시간이라는 변수 대신 시간과 온도를 결합한 ‘누적온도일(accumulated degree days, ADD)’이라는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2016년 03호

    “안전 기준 이하로 노출된 사람에서 암을 포함한 건강상 악영향이 발생한다는 실질적인 증거는 없다”고 밝히면서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드의 운용 주체인 미 국방부 산하 미사일방어국은 사실상 장기간 노출이 건강에 주는 영향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X밴드 레이더의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2015년 11호

    “인간이 원하는 소의 형질은 대부분 질적형질이 아니라 양적형질”이라고 말했다. 질적형질은 뿔의 유무나 털 색깔 등이며, 단일 유전자쌍이나 몇몇 유전자쌍의 지배를 받는다. 반면 양적형질은 몸무게, 허리둘레, 크는 속도 등이며 여러 염색체쌍에 위치한 수백~수천 개 유전자쌍의 지배를 받는다.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2015년 09호

    유리전기라 불렀다.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인 벤자민 프랭클린은 두 가지 전기가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양적인 차이, 즉 전기 전하가 더 많고 적음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차렸다. 프랭클린은 호박을 양털에 문지르면 호박의 전하가 양털로 옮겨가 호박이 음의 전기를 띠게 되고, 유리를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2015년 06호

    모르게 뇌가 강하게 반응하는 것이다.테러현장 한복판에 당신이 선다면?양적인 변화는 질적인 변화를 부른다. HMD를 동반한 몰입형 가상현실은 단순히 과거보다 콘텐츠의 실재감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는다. 강한 실재감을 바탕으로 기존에 겪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사람들에게 선사한다. 대표적으로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2015년 06호

    그 실체는 미립자의 조합이라고 주장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상과 현실의 차이는 질적인 것이 아니라 양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초고해상도 HMD가 발명되면 눈으로 가상과 현실을 구분할 수 있을까. 구분하는 게 의미가 있을까. 한마디로 가상과 현실의 차이는 밀도의 차이, 강도의 차이,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2015년 04호

    속설에서 비롯함)이라고 한다. 수천 명의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보면, 질적으로 우수한 연구 실적은 50~60대 이후에도 변함없이 유지됐다. 나이가 들어도 하지 못할 것은 없다. 노화는 두려워하며 피하고 싶은 운명이 아니라, 자랑스럽게 받아들이고 기쁘게 누려야 할 축복이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