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수학동아 2010년 09호

    형제는 4촌, 같은 증조할아버지를 둔 형제는 6촌으로 형제 촌수의 숫자가 2씩 커질 때마다 직계가 하나씩 올라가는 규칙이 있어. 그러니까 형제 중에 3촌, 5촌, 7촌과 같은 홀수 숫자의 형제는 있을 수 없지.그렇다면 아빠랑 같은 가로 줄에 있는 사람들은 어떨까?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아빠 여동생은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2010년 05호

    A. africanus)와 호모 하빌리스(H. habilis) 사이를 잇는 종이거나 호모 에렉투스(H. erectus)의 직계조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아직까지 논란은 많지만 인류학자들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호모 하빌리스를 거쳐 호모 에렉투스로, 또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에렉투스로 각각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2010년 01호

    아파렌시스란 학명을 얻었다. 아르디는 루시보다 더 원시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데, 그 직계조상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Runners-up식물 스트레스 호르몬 수용체 발견가뭄이 심하면 성장을 억제하고 씨가 발아하지 못하게 막는 식물 스트레스 호르몬 ABA를 인식하는 수용체의 실체가 마침내 밝혀졌다.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2009년 07호

    80만 년 전 등장해 160만 년가량 생존했던 호모 에렉투스 역시 뇌 용적이 더 큰 현생인류의 직계조상이 등장하면서 사라졌다. 결국 뇌 용적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원시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도 작은 뇌를 가지고 현생인류와 최근까지도 공존해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2008년 09호

    아무튼 저희는 사람들과 살게 되면서 크게 두 갈래 길을 걷게 됐죠. 하나는 저희 직계 조상들처럼 사람을 도와 농사일을 했던 일소였고 또 하나는 사람들과 초원을 이동하며 우유와 유제품을 공급해주던 젖소였죠. 인도에 있는 제부(Zebu) 품종같이 양쪽 다 제공해주는 소도 있어요.한국에 자리 잡은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2007년 12호

    불을 피웠음을 의미한다. 이 무렵 지구에 퍼져있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와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알려진 고(古, archaic) 호모 사피엔스. 고렌-인바 교수는 “불에 탄 나무는 6종으로 그 중 올리브, 야생호밀, 야생포도는 먹을 수 있는 종류”라며 “따라서 이곳에 살던 인류는 본격적으로 불을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2005년 09호

    해법은 유전자 검사. 엄 교수는 “핵 속의 유전자(DNA)를 추출하고 이를 현재 칭기즈칸 직계 후손들의 DNA와 비교해보면 이번 무덤 유골의 정체를 좀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몽골에는 가계를 나타내는 족보가 비교적 잘 보존돼 있다고 한다. 만일 족보를 통해 칭기즈칸 후예들을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2005년 06호

    야만인이나 원숭이가 아니라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맞다. 코펭 박사는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은 아니지만, 가장 가까운 친척뻘인 네안데르탈인을 결코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그는 기꺼이 자신의 얼굴을 네안데르탈인 얼굴 복원 프로젝트에 첫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 숨결 불어넣는 ...

  •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과학동아 2003년 10호

    이들은 목표로 한 성능의 액체연료 로켓 개발에 성공했다.1942년 10월 3일은 현대 로켓의 직계 조상이 탄생한 날이다. 두번의 실패 끝에 A-4로켓이 성공적으로 발사된 날이기 때문이다. A-4는 인류가 도달한 최고 높이인 84km까지 상승했다. 비행을 지켜본 개발 책임자 도른베르거는 “오늘 우주선이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2003년 10호

    지녔다고 한다.위조범 가운데에는 유명 근현대 작가의 직계 제자도 있다. 가짜를 만드는 직계 제자들은 주로 정통 산수화 분야에 많다. 가짜 위조범들은 대개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들이지만 좀더 그럴 듯한 가짜를 만들기 위해 특정 작가나 특정 장르의 작품을 놓고 집중적으로 반복 훈련을 한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