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도파민 중독 시대... 모든 길은 소셜 미디어로 통한다

    [특집] 도파민 중독 시대... 모든 길은 소셜 미디어로 통한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미뤄 둔 채 소셜 미디어에 갇혔다면 나는 정말 ‘도파민 중독’일까? 도파민 중독이 정말 존재하는지, 어떤 요소들이 소셜 미디어로 우리를 잡아끄는지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특집] 도파민 중독 시대... 모든 길은 소셜 미디어로 통한다INTRO. 당신은 도파민 중독인가요?PART1.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세계와 그림의 우주를 창조합니다. 언어와 그림으로 그것을 표현할 수 없다면 그것이 존재한다고 이야기할 수 없을 겁니다.” 벤슨의 말처럼 언어와 그림으로 재창조된 우주의 모습을 코스미그래픽 속에 소개된 이미지를 통해 살펴보자. 오래된 하늘의 조각들예술과 과학의 출발점은 같다. 세상의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과학동아 2024년 03호

    수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모임에서 서로 아는 s명, 또는 서로 모르는 t명이 반드시 존재하려면 최소 몇 명이 모여야 할까?’라는 문제를 풀면서, 그 속에 어떤 원리가 있는지, t가 늘어날수록 왜 계산이 복잡해지는지, 복잡해진다면 어떤 형태로 또는 얼마나 복잡해지는지, 뭐가 됐든 그 원리를 ...

  • [컬쳐] 태초에 그 논문이 있었다 막스플랑크의 양자론을 이해하는 법

    [컬쳐] 태초에 그 논문이 있었다 막스플랑크의 양자론을 이해하는 법

    과학동아 2024년 03호

    바꾼’ 존재입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아이작 뉴턴이 완성했던 고전 물리학을 뒤엎는 존재기 때문입니다. 1900년,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는 논문을 한 편 발표합니다. ‘스펙트럼에 관한 빈 방정식의 개선에 관해(On an improvement of Wien’s equation for the spectrum)’란 제목의 이 논문에서 플랑크는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역할을 “수학적 원리”로 설명해 낸 책이 프린키피아였다. 즉, 뉴턴의 입장에서 신의 존재는 과학과 대립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신이 창조한 자연을 법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동기의 원천이었다. 의혹 3. 뉴턴은 사이비 과학인 연금술에 빠졌다? ‘금이 아닌 물질로 금을 만들고자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

    과학동아 2024년 03호

    그런데 주류와 발효음식 속에는 ‘에틸카바메이트(Ethyl Carbamate)’라는 유해 물질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발효과정에서 에탄올과 카보닐기의 화학 반응으로 ‘자연 발생’하는 물질입니다. 제아무리 명망 있는 종갓집의 장독대에서도 청국장과 된장을 만들 때 에틸카바메이트를 피할 길은 없다는 ...

  •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3호

    폭염, 위험한 장소 등 극한 환경에서 사람이 할 수 없는 부분 위주로 투입되기 위해 존재한다”고 전했습니다.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기보다는 사람이 하기 힘든 빈틈을 채우는 역할을 하게 되는 거죠. 자율주행 차량과 로봇이 도시를 자유롭게 다니기 위해선 외부 환경 또한 조성돼야 해요. 차량은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2024년 03호

    자극에도 쾌감을 더 크게 느끼는 데는 도파민 수용체의 양도 영향을 미친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도파민 수용체는 방출된 도파민을 흡수해 활성화함으로써 우리가 쾌감을 느끼게 한다. 이런 도파민 수용체의 양은 뇌의 발달 시기에 따라 다르다. 유아기와 어린이 시기를 거치면서 수용체 숫자는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과학동아 2024년 03호

    단단한 존재다. 이런 발명품들이 인류의 삶을 어떻게 혁신해왔는지 소개하는 저자는 이 존재들의 사소한 기능이 꾸준히 확장되는 과정을 치밀하게 서술한다. ‘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과학’이라는 책 자체가 독자의 인식에서 볼트와 너트처럼 작고 단단하며 중요한 역할을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3호

    많은 생명을 품은 아름다운 곳이기 때문이지요. 여러분과 우리 모두는 아름답고 소중한 존재랍니다. 이 세상이 여러분을 중심으로 돌아가지 않더라도, 괜찮은 이유예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