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4호

    문화재 보존에는 수학, 과학이 많이 쓰이지만 그에 못지 않게 문화유산에 대한 애정도 중요해요. 역사에서 출발해 과학 지식을 덧입히는 거죠. 저처럼 석재에 관심이 있으면 지구과학을, 문화재 오염물 처리에 관심 있다면 화학에 관심을 기울여 보는 걸 추천합니다 ...

  •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

    수학동아 2024년 04호

    근처까지 올라오면 화산의 한쪽 비탈이 불룩해진다. 불룩한 비탈의 경사도가 높아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화산의 분화 시기를 대략 알 수 있다. 마그마가 뿜어내는 아황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도 예측을 돕는 방법이다.  화산재 구름 분석으로 폭발 규모 추정 1000년 전 과거의 화산 폭발 규모를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

    수학동아 2024년 04호

    넓다고 가정하고 산불의 진행 방향과 규모를 분석하면, p가 0.6962 미만일 때는 불이 어느 정도 번지다 꺼진다. 즉, 불난 곳 주위에 나무가 있는 육각형이 대략 4개 미만이면 불이 숲 전체를 태우지 않는다. 반면 p가 0.6962 이상일 때는 불이 산 전체로 퍼진다. p가 1에 가까울수록 불이 더 빨리 번지고, 더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

    수학동아 2024년 04호

    늘리면 환자가 여전히 감염력이 있을 확률이 2.0%로 낮아지고, 불필요한 격리 기간도 2.3일 정도로 짧아진다. 이처럼 수학 모형을 통해 불필요한 격리 기간을 줄이는 데 개인화 방법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

    수학동아 2024년 04호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분에 100m2까지 좀비가 퍼질 때 90m 정도 떨어져 있다면 26분 만에 우리 앞에 좀비가 나타난다. 확산 속도가 분당 150m2까지 올라가면 17분으로 그 시간은 확 줄어든다. 만약 좀비가 2시간 거리에 있다면 대략 4시간 뒤에는 좀비의 공격을 받게 되기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2024년 04호

    사람들은 대화할 때 일반적으로 분당 평균 150개의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 속도의 절반 정도에 다다른 것이다. 1024개의 단어 세트를 사용할 때 오류율은 25%였는데, 대화에서 쓰는 어휘가 119개로 줄어들면 오류율도 8.2%로 감소했다. 연구팀의 다음 목표는 사용자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BCI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과학동아 2024년 04호

    체내에 완전히 삽입돼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데다가 수년 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할 정도로 발전했다. 마찬가지로 초절전, 초소형, 고성능의 안전한 완전 삽입형 BCI 기술 개발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뉴럴링크가 제조한 칩은 이미 두피 아래에 완전히 삽입할 수 있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2024년 04호

    인류가 우주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한 가장 근본적인 이론이다. 그리고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널리 받아들여진 이론이기도 하다. 표준모형이 우주를 설명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당신을 쪼개 볼 것이다. 갑작스럽겠지만 너른 마음으로 받아들여 주길. 당신의 몸은 폐, 심장, 뇌 등 기관이 모여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2024년 04호

    플로지스톤”이라 불렀다. 라부아지에의 화학은 물론 훌륭한 과학이었지만, 불필요할 정도로 경쟁 이론을 물리침으로써 과학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었던 기회를 앗아가고 말았다.의혹3. 라부아지에가 유명해진 것은 아내 덕분? 라부아지에와 프리스틀리의 말년은 모두 비참했다. 프랑스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동아 2024년 04호

    겁니다. 평가 자체도 쉽지 않습니다. 황 책임연구원은 “과제 평가에 겨우 30분 정도의 시간을 주는 경우도 허다하다”며, “동료 평가를 오랫동안 공들여서 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시스템연구본부장은 “한국은 연구 평가 단계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