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

    과학동아 2023년 11호

    에렌델의 별빛 색깔, 스펙트럼을 더 세밀히 분석하자 흥미로운 점이 발견됐다. 여러 적외선 파장으로 관측한 에렌델의 스펙트럼을 가장 잘 재현한 모델은, 뜨겁고 푸른 B형 별과 훨씬 미지근하고 밝기는 비슷한 동반성이 붙은 경우였다. 실제로 우리은하에서 가까운 B형 별은 옆에 작은 별을 거느린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

    과학동아 2023년 11호

    움직이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가 1987년 적외선 레이저를 불활성 기체에 투과시킬 때 발견한 현상부터 시작됐다. 불활성 기체 실험 결과 다양한 빛의 광파가 발생했는데, 이 광파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 있으면서 기존 레이저보다 더 짧고 강했다. 륄리에 ...

  •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1호

      연구팀은 폭발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낮은 온도의 우주를 관측하는 데 사용되는 적외선카메라의 관측 자료를 살폈어요. 분석 결과, 폭발이 발생한 이후 별에서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만 방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관측한 폭발이 두 개의 별이 서로 충돌해 발생한 것이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

    과학동아 2023년 11호

    CEA 연구실에 있던 륄리에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1988년 1064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고차조화파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doi : 10.1088/0953-4075/21/3/001 고차조화파는 레이저와 같이 결맞음 특성을 가지며, 극자외선 또는 X선 영역에 해당하는 넓은 주파수 영역을 가지는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과학동아 2023년 09호

    원시별이 차분히 몸집을 불려나간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2003년, 우주로 올라간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원시별을 관측하면서 그 과정이 생각만큼 조용하진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어떤 원시별은 갑자기 밝아졌다 어두워졌다를 반복했고, 어떤 원시별은 위 아래로 제트를 뿜어내기도 했다 ...

  •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

    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감동할까

    과학동아 2023년 09호

    STScI)의 이미징 전문가들이 맡는다. 이들은 보통 가시광선과 마찬가지로 적외선의 짧은 파장에 파란색, 중간 파장에 녹색, 긴 파장에 빨간색을 할당해 색을 입힌다. 이는 겨우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이미징 전문가들은 디자이너와 회의를 거치며 색이 덧입혀진 이미지가 눈에 더욱 잘 띄도록 여러 ...

  •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

    과학동아 2023년 09호

    파악해 전전두엽 내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흡수된 근적외선 양이 적으면 헤모글로빈 농도가 높고, 전전두엽이 많이 활성화돼 있다는 뜻이다.조금 우스운 모습이지만 기자는 fNIRS 장비를 차고 다시 LoL 게임을 시작했다. 아쉽게도 게임을 하는 동안 기자의 뇌는 그다지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

    과학동아 2023년 09호

    해 2021년 4월에는 M87*의 다파장 관측 결과도 공개됐다. 기존의 전파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적외선, 엑스선, 감마선 등 다양한 파장을 동시에 관측했다. 다파장 관측에서는 M87*이 처녀자리 은하 크기보다 더 큰 제트를 분출하는 모습을 포착했다. 2022년 5월에는 우리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

  • [가상 인터뷰] 제임스 웹, 최초로 외계 행성 온도 측정!

    [가상 인터뷰] 제임스 웹, 최초로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9호

    트라피스트-1b의 밝기를 합친 값에서 항성의 밝기를 빼, 트라피스트-1b가 얼마나 많은 적외선을 방출하는지 계산했지. 분석 결과, 트라피스트-1b 행성 표면의 온도는 230℃였어. 이건 이 행성에 대기가 없다는 걸 뜻해. 연구팀은 대기가 있었다면 열이 분산돼 이보다 100℃는 낮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어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

    과학동아 2023년 09호

    먼 과거의 은하를 고적색이동 은하라고도 부른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라는 대형 적외선 망원경이 탄생한 데는 이런 고적색이동 은하를 관찰하기 위한 이유도 있다. 제임스 웹 계획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발사되기도 전인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됐다. 제임스 웹 계획이 한창 진행되던 1990년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