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

    과학동아 2019년 09호

     탄소는 가장 많은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원소다. 미국화학회가 운영하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등록 번호’에 등재된 화합물 중 탄소 화합물이 대략 90%에 이른다. 그런 탄소는 많은 역할을 맡고 있다. 생명, 문명, 별빛, 이 모든 곳에 탄소가 필요하다. 물론 화석연료와 합성소재의 무분별한 사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

    수학동아 2019년 02호

     100년 전만 해도 예술이란 예술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법칙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예술은 대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개념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예술적이지 않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 시중에 파는 변기통을 두고 예술이라 말하는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

    과학동아 2018년 10호

    올해 8월의 폭염은 1994년의 기록을 넘어서 역대 최고 폭염으로 기록됐다. 8월 1일 강원도 홍천의 최고 기온은 41도였고, 전국 관측소의 60%가 관측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대한민국과 아프리카를 합친 ‘대프리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전문가들은 이런 폭염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2018년 05호

    편집자주 - 과학동아는 DBR(Dong-A Business Review)이 발행하는 기사 가운데 하나를 엄선해 독자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과학동아에서 만나는 새로운 경제·경영 기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Article at a Glance]대형 기획사 출신이 아닌 아이돌 그룹 BTS는 데뷔 후 불과 4년 만에 한국 시장을 넘어 글로벌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05호

    지하 도시는 가장 가까운 미래 도시라고 할 수 있어요.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지하를 개발해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거든요.    역사 곳곳, 세계 곳곳 지하 도시사실 지하 도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던 도시 형태예요. 세계의 지하 도시 유적은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40여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2017년 05호

    1전차 안에는 운전사와 미나를 빼고도 아직 다섯 명의 승객들이 남아있었다. 시골에서 처음 올라왔는지 창에 얼굴을 박고 신기한 듯 주변의 콘크리트 건물들을 올려다보고 있는 전통의상 차림의 남자 노인 두 명, 태블릿으로 지루해보이는 서류들을 건성으로 체크하고 있는 회색 공무원 제복 차림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

    수학동아 2017년 03호

    믿기지 않았던 경험은 아이들을 작은 세계에 매료시켰다.고양이에게 된통 당해 고생은 했지만, 모든 게 달라 보였던 세상은 경이로웠던 것이다.작은 세계에서 모험을 겪고 나니 그보다 더 작은 미시세계는 얼마나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졌다. 하지만 미시세계를 이해하려면 먼저 미시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과학동아 2017년 01호

     0과 1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숫자다.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담은 숫자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1로, 차단된 것을 0으로 환산한 2진법 시스템으로 정보를 처리한다.이처럼 ‘On’과 ‘Off’를 1과 0에 대응시키는 방식은 굉장히 명쾌하지만 최선이라고 말할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2016년 12호

    출구조사 결과가 나온 순간부터 인터넷은 충격에 빠졌다.출구조사 결과가 틀렸던 지난 서울시장 선거가 재분석되고 방송3사 통합 출구조사와 다른 예측을 내놓은 방송국에 무한한 신뢰가 쏟아졌다. 하지만 출구조사는 언제나처럼 오차 없이 정확했다. 결말부터 알려주고 시작하는 소설처럼 밤은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2016년 11호

    왼쪽부터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 작년 노벨상 발표를 앞둔 10월 초, 필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데이비드 사울레스(미국 워싱턴대 교수)-덩컨 홀데인(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찰스 케인(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이렇게 세 명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