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24호

    났을 때 가장 위험한 곳은?지난 2010년, 미국의 비영리 조사기관인 ‘지오해저드 인터내셔널’은 지진이 났을 때 가장 위험한 도시 20곳을 선정해서 발표했어요. 1위는 네팔의 카트만두였지요.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100만 명 중 6만 9000명 정도가 목숨을 잃을 거라고 예측됐답니다. 위험한 ...

  • Intro. 인공신경망 번역 수학이 다 알아서 한다

    Intro. 인공신경망 번역 수학이 다 알아서 한다

    수학동아 2017년 02호

    여러 가지 언어를 자유자재로 번역하는 인공지능의 눈에는 언어가 어떻게 보일까?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신경망 번역은 단어나 문장을 공간 속의 점으로 인식한다. 인공신경망의 눈에는 언어가 우주 공간 속 별무리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 수학적인 공간이 어떻게 다시 우리가 원하는 언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

    수학동아 2017년 02호

    여러 인공신경망 번역기 중에서도 구글 번역은 특별하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해도 따로 알고리즘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모두 학습시켰다. 이를 ‘다중언어모델’이라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 ...

  •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

    Part 1. 구글이 ‘영잘알’된 비결

    수학동아 2017년 02호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구글 번역은 믿지 못할 물건이었다. “게임을 하다, 재밌게”처럼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단어별로 번역하거나 먹는 배를 “boat”로 옮기는 경우도 허다했다.그러던 번역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인공신경망을 탑재하더니 실력이 부쩍 늘었다. 인공신경망 번역이 뭐기에 순식간에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

    수학동아 2017년 02호

    전문가들은 적어도 10년 안에 컴퓨터가 전문 번역가 수준이 될 거라 예측한다. 그러면 교실 풍경부터 변할 것이다. 이창기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독해와 문법보다 실시간으로 원어민과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교실 밖은 어떨까. 인공신경망 번 ...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

    수학동아 2016년 10호

    혹시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게임만 한다고 부모님께 혼난 적이 있나요? 그런 친구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최근 호주 로열멜버른 ... “폭력적이지만 않다면 게임은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이 연구 결과는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커뮤니케이션’ 8월 9일자에 실렸습니다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2016년 06호

    인공 피부를 이용해 착용자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전자 의족을 개발했다. 미국의 ‘SRI인터내셔널’사가 개발한 이 소재는 전류를 흘리면 딱딱해지고 전류를 끊으면 종이처럼 유연해진다. 연구팀은 사용자의 다리를 3D스캔해 꼭 맞는 결합부를 설계했다. 몸이 딱딱해지고 인공 피부가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

    과학동아 2015년 11호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대한석탄공사 같은 공기업도 있습니다. 대우 인터내셔널이나 LG상사, SK네트웍스 같은 사기업도 많고요.정용권 마지막으로 에너지자원공학과에 잘 맞을 것 같은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정은혜 이쪽 분야에 있다 보면 해외에 나갈 일이 많아요. 우리나라가 자원이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과학동아 2015년 07호

    다음 영상부터 보자(아래 QR코드).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만약 30~40대라면 아마 이 화면에 익숙할 것이다. 골목마다 오락실이 아이들의 발길을 붙잡아 이끌던 시절, 많은 이들이 즐겼던 벽돌 깨기 게임이다. 화면 속 게이머는 처음엔 익숙지 않은 듯 실패를 거듭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력이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2015년 06호

    피해가 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의 지진 연구단체 인 지오해저드인터내셔널(GI)은 건물의 안전 수준과 사회 기반시설, 인구 증가에 따른 밀도 등을 고려해 2001년 ‘대지진에 취약한 세계 주요도시’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얼마나 많은 사상자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