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F 소설] 목가와 숙녀

    [SF 소설] 목가와 숙녀

    과학동아 2021년 10호

    인간은, 너도 알겠지만, 인공포궁으로 태어나는 게 당연하잖아. 그게 문명인다운 방식이지.” 리아는 나처럼 ‘자연과 가까운’ 애와 단둘이 있는 상황에서도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어색한 듯했다. “소들처럼 그렇게 짝짓기……를 해서 출산을 하고, 그래서 유방에서 젖이 나오고…… ...

  • [가상 인터뷰] 우는 게 특기?! 눈물샘 오가노이드

    [가상 인터뷰] 우는 게 특기?! 눈물샘 오가노이드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8호

    주변 장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몸속 환경에서 실험한 것과는 다르다는 점이지.  그런데 왜 울게된 거야?3월 16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병원 한스 클리버 교수 연구팀은 사람 눈물샘 오가노이드를 배양하고 실제로 눈물이 나오게 했다고 밝혔어. 연구팀은 눈물샘 세포를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6호

    바다가 있듯 사투리도 있어요. ‘빙떡’, ‘웃당보민’ 은 제주도 사투리로 만든 곡이지요. 이 외에도 약 200여 곡을 제주 사투리로 만들었지요. 제주 사투리에는 아래아, 쌍 아래아, 반치음 등 옛 훈민정음의 흔적이 남아있어요. 어떻게 들으면 일본어, 프랑스어 같기도 하죠.  Q사투리로 노래를 ...

  • [특집] 겨울잠, 왜 자는 걸까?

    [특집] 겨울잠, 왜 자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5호

    ’이라 불러요. 곰, 다람쥐, 박쥐, 고슴도치 같은 포유류와 조류 일부만 쓸 수 있는 능력이지요.그렇다면 겨울잠은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박쥐는 깨어있을 때 평균 분당 200번 정도 심장이 뛰지만, 겨울잠에 들면 심장이 분당 5번으로 떨어져요. 고슴도치는 토르퍼 상태에서 99%나 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

  • [가상인터뷰] 파랑새 깃털 본떠 유리 만든다!

    [가상인터뷰] 파랑새 깃털 본떠 유리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4호

    파랑새과의 조류지. 몸길이는 약 29cm고, 이름처럼 몸에 선명한 청록색을 띠는 게 특징이지. 나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살아. 크고 오래된 나무가 있는 침엽수림이나 활엽수림이 섞인 숲, 또는 농경지를 좋아해.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고 번식하고 나무 위에서 생활하거든. 주로 딱정벌레나 매미, ...

  • [가상인터뷰] 자동차 바퀴에 깔려도 살아남는 철갑 딱정벌레의 비결은?!

    [가상인터뷰] 자동차 바퀴에 깔려도 살아남는 철갑 딱정벌레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2호

    끄떡없을 정도지. 인간으로 따지면, 30kg 몸무게의 어린이가 1170t(톤)의 무게를 견디는 셈이지.10월 21일, 미국 어바인캘리포니아대학교와 퍼듀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철갑 딱정벌레가 어마어마한 무게를 견디는 비결을 밝혔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고해상도 현미경으로 철갑 딱정벌레의 날개의 덮개인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0호

    발견했어. 예쁜꼬마선충의 몸 밖에서 온 유전 물질이 예쁜꼬마선충의 행동을 조절하는 셈이지.  후손들에게는 어떻게 조언을 하는 거야?녹농균의 P11 유전자 조각은 예쁜꼬마선충의 생식 세포에 담긴 채 대를 이어 다음 4세대까지 전달돼. 그 결과, 후손들도 녹농균을 보면 피할 수 있는 거지. 다행히 ...

  • [가상인터뷰] 세레스, 바다를 품고 있었다!

    [가상인터뷰] 세레스, 바다를 품고 있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7호

    물질로 바닷물이 얼 때 나타나는 성분이란다. 지구 밖에서 이 물질을 발견한 건 처음이지.연구팀은 하이드로할라이트의 수분이 매우 빠르게 증발해 관측하기 어려운데, 발견된 것으로 보아 세레스 안엔 아직도 짠물이 있고, 여전히 지표면으로 짠물이 흘러나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단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5호

    수많은 별은 그 밝기에 따라 등급이 매겨져 있어요.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지요. 이렇게 밝기로 별의 등급을 처음 매긴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예요. 히파르코스는 하늘의 별을 관측하다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들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들을 6등급으로 ...

  • [가상인터뷰] 말랑말랑한 공룡알도 있었다?!

    [가상인터뷰] 말랑말랑한 공룡알도 있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4호

    사실 뿔다운 뿔을 갖고 있진 않아. 내 코 위에 뿔처럼 생긴 작은 돌기가 붙어 있을 뿐이지. 나는 백악기 후기 시대, 주로 몽골, 중국 등에서 풀을 먹고 사는 초식공룡이란다. 내 턱은 커다란 가위처럼 생겼어. 이 턱으로 나무나 식물을 잘라 먹곤 했지. 내 부리는 앵무새의 부리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