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2007년 11호

    하지만 조선시대에 이 정도의 오차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간주됐던 것 같다. 세종은 이순지의 수치가 원사에 나온 값(37°41′)과 일치한다며 그를 크게 신임하고 그뒤 역법을 교정하는 일을 맡겼다. 세종 때는 제주도 한라산, 강화도 마니산, 함경도 백두산의 위도를 측정했다고 전해지는데, 수치는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2007년 06호

    5개의 소행성에 국제천문연맹의 최종 승인을 받아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처럼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붙였다.진정으로 밤하늘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고 싶거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별이름을 선물하고 싶다면 새로운 혜성이나 소행성을 발견해야 한다.이달의 천문현상 ...

  •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2007년 05호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곳으로 다니엘 커크우드가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2007년 02호

    속도가 변하는 움직임을 거의 완벽하게 구현했다.  일식 예측한 ‘칠정산외편’이순지와 김담(1416~1464) 같은 조선의 학자들은 명나라에서 번역한 회회력을 가져다가 면밀하게 다시 분석해 번역본에 몇 가지 오류가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또한 회회력에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고, 일부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08호

    틀려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정하기 힘들었다. 이런 점을 안타깝게 여긴 세종대왕은 이순지에게 우리나라만의 역법서를 만들 것을 명했고 그는 세밀한 관측과 연구를 통해 당시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역법서이자 달력이라 할 수 있는 ‘칠정산’ 을 만들었다.동양 최고의 한의학자 허준(1539〜1615)조선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08호

    화성과 목성 사이에는 작은 소행성들이 무수히 떠돌아다니고 있습니다. 마치 감자처럼 울퉁불퉁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소행성 중 지름이  100km 이상 ... 보현산천문대에서는 그 동안 발견한 7개의 소행성에 최무선, 이천, 허준, 장영실, 이순지, 홍대용, 김정호 등 선현들의 이름을 붙였답니다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2006년 08호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곳으로 다니엘 커크우드가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2005년 10호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곳으로 다니엘 커크우드가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2005년 05호

    붙어 있는 소행성으로는 관륵, 세종, 나, 보현산, 통일, 최무선, 장영실, 이천, 허준, 이순지 등이 있다.수많은 소행성 중에서 가장 유명한 소행성은 가장 앞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4개다. 소행성 1번이 세레스이며, 2번이 팔라스, 3번이 쥬노, 4번이 베스타다. 이 중 가장 크기가 큰 것은 세레스로 지름이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2004년 04호

    연구원은 “국내에서 발견한 소행성 5개의 고유명칭으로 제안했던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의 영문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3월 6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소행성들은 2000-2003년에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와 이병철 연구원이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으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