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

    과학동아 2019년 10호

    알아봤습니다.  ▼ 더 많은 기사를 보려면INTRO.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Q1.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Q2.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Q3.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Q4.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Q5.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면 무조건 암 위험이 ...

  • Q.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

    Q.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

    과학동아 2019년 10호

    유입량을 고려할 때 동토차수벽이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라며 “원전을 해수면과 가까이 설치하기 위해 해발 35m인 부지를 25m나 깎았다”고 비판했습니다 ...

  •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

    과학동아 2019년 10호

    배출하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정상 원전이고 후쿠시마 원전은 전례가 없는 사고 원전이니까요.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삼중수소수 대책위원회는 삼중수소를 해상에 방류하는 방안 외에도 지하 2500m 이하의 지층에 주입하는 방안, 수증기로 배출하는 방안,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로 환원해 배출하는 ...

  • Q.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면 무조건 암 위험이 높아질까?

    Q.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면 무조건 암 위험이 높아질까?

    과학동아 2019년 10호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수나 코치가 1~2주 동안 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방사능에) 영향을 받은 지역에 방문하면 ‘암 발생 위험도가 매일 조금씩 비례해서 증가한다(the cancer risk is proportional, growing incrementally each day)’”고 말했습니다.기사가 나간 후 링크스 교수가 보도가 ...

  • Q.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

    Q.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

    과학동아 2019년 10호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쉬운 일은 아닙니다. 방사성 물질이 든 오염수를 원전 밖에 설치할 경우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할 테고, 수송과정에서 오염수가 유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김 책임연구원은 “일본은 오염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게 5가지를 고려하고 있다”며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

    과학동아 2019년 10호

    기여했는지 논문 결과를 정확히 따져볼 필요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에 저장된 오염수를 또 한 번 배출한다면 비슷하게 동해에 흘러올 확률이 분명 존재하지 않을까요?전문가들은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석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환경방사능평가실 책임연구원은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

    과학동아 2019년 09호

    창조와 진화의 논쟁 같이 쓸모없는 소모전은 아니다. 이 생산적 논의를 이끌어내는 원전이 바로 종의 기원이다. 인류의 지성사를 흔들어 놓은 이 과학고전에 수식이 하나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얼마나 큰 위안이 되는지. 이번에 필자가 직접 우리말로 읽기 쉽게 번역을 했으니 한번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2019년 05호

    원자력 발전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 원자력 발전은 에너지 생산 효율이 높은 대신 방사성물질 누출, 방사성 폐기물 처분 등 안전에 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수소 핵융합을 이용한 에너지 생성은 이런 우려 없이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

    과학동아 2019년 05호

    사업에 뛰어든 건 2012년부터였다. 고 대표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나면서 생활방사능 문제에 경각심을 가지게 됐다”며 “어떤 장비든 어차피 무언가를 측정하는 장비를 만드는 것이 에프티랩의 장기라고 생각해 측정기 개발에는 자신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그렇게 2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

    과학동아 2019년 03호

    핵융합을 지구에서도 구현할 수 있다면 지긋지긋한 미세먼지를 부르는 화력발전도, 탈원전 논란도 필요 없다. 먼 미래에서나 가능한 이상적인 이야기로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난해 지구에서도 핵융합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1억 도에 이르는 뜨거운 ‘인공태양’이 짧은 시간 동안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