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7호

    세 번째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로봇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김윤경 박사님을 만났습니다. 저 멀리 우주에서 사람과 로봇이 소통할 일이 있을까요? NASA에서는 어떤 로봇을 만드는 걸까요?"먼 우주에서도 HRI가 중요!"●정 : 우주 로봇이라면…, 로버인가요?●김윤경 박사(이하 김) : 맞아요. 뿐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과학동아 2019년 02호

      새해 벽두부터 우주 역사에 길이 남을 두 소식이 들려왔다. 하나는 미국발(發), 하나는 중국발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류 역사상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를 근접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중국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에 무인 우주선을 착륙시켰다. 미국과 중국은 자신들의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2019년 01호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이 ‘문워크(달 표면 보행)’에 성공한 지 50년이 지났다. 달 착륙은 닿을 수 없는 동경의 대상이었던 달을 인류의 생활권으로 바꿔 놨다. 인공위성을 보내 물이 존재하는지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

    과학동아 2019년 01호

     ‘2020년 달 주변을 도는 550kg짜리 궤도선을, 2030년까지 달 착륙선을 보낸다’. 2018년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제3차 우주개발계획’ 중 달 탐사에 관한 내용이다. 2017년과 2020년에 각각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보내려는 당초 계획보다 상당 기간 뒤로 미뤄졌다.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

    과학동아 2019년 01호

     “여기 완전 미로 같네요.” “곧 꺼내드릴게요. 걱정 마세요.” 보안문 4개와 복잡하게 연결된 복도를 지나 도착한 곳은 민간 우주회사 SSL의 조립동이 한 눈에 보이는 뷰룸(View room)이었다. 유리벽 너머에서는 높이가 5m가량 되는 정지궤도위성 조립이 한창이었다. 위성이 있는 조립동은 시력이 1.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

    과학동아 2018년 11호

     “우주 탐험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희의 탐험이 단순히 탐험만을 위한 탐험에 그칠 거라곤 생각지 않습니다. 우리에겐 이제까지 봤어야 했지만 보지 못한 것들이 있습니다. 지금에서야 그것들을 볼 수 있게 된 것입니다.”1962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

    과학동아 2018년 06호

    다르게 썼기 때문”이라며 “연구단에서는 지진파 자료와 물리탐사,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지진이 발생한 심도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2018년 06호

    동시에 발표했다.doi:10.1126/science.aat2010 연구팀은 원거리 지진자료와 인공위성 레이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해 역시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한 위치가 지열발전소와 가까울수록, 지열발전과의 연관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2018년 05호

      [광물자원 개발] “지질탐사 사업에 전환을 일으켜 사회주의경제강국 건설을 다그치자.” 2016년 9월 25일 개최된 ‘북한 전국지질탐사 부문 일군 열성자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한이 전달됐다. 이 서한에는 북한의 지하자원 탐사가 재래식 탐사 방법만 적용해 효율성이 낮은 만큼 현대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

    과학동아 2018년 03호

    주도했는데, 이제는 한국도 지구관측 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으로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하고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광학위성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를 이용해 마리안 소만의 빙벽 후퇴를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다. 또 아리랑 2호, 3호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