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2020년 09호

    읽을 경우 해독의 정확도가 1세대 DNA 해독 기술보다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30억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길고 긴 인간의 DNA 염기서열을 정확하게 읽어낼 수 없었다.  DNA 해독에 나노기술을 더하다그런데 2010년대 중반 3세대 DNA 해독 기술인 나노포어 시퀀싱이 개발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2020년 07호

    2017년 발견된 클로스노이 바이러스는 유전체 크기가 무려 1.57Mb(메가베이스·1Mb는 100만 염기쌍)였다. 이는 유전체 크기가 작은 일부 세균들보다 더 큰 수치다. 또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체계도 가졌다. 숙주의 도움 없이 스스로 단백질을 합성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유전적 체계는 완벽히 갖추고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2020년 07호

    가장 단순한 바이러스로 알려진 비로이드(viroid)는 단백질 없이 오직 120bp(베이스페어·염기쌍)의 단일가닥 RNA로 이뤄져 있다). 유전체는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오늘날 생명체 대부분이 안정적인 이중가닥의 DNA를 유전체로 활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바이러스의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2020년 07호

    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SARS-CoV-2)의 경우 30kbp(킬로 베이스페어·1kbp는 1000개의 염기쌍)  정도 되는 RNA 유전체에 RdRP (RNA를 기반으로 RNA를 합성하는 중합효소), 스파이크, 외피, 막, 캡시드 단백질에 대한 유전정보가 순서대로 담겨있다.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이 유전체 의 길이가 긴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2020년 05호

    붙은 염기를 잘라내고 알맞은 염기로 메우는 ‘염기 절단복구’나 서로 짝이 맞지 않는 염기쌍만 골라 고치는 ‘미스매치 복구’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밝혀낸 과학자들은 201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복제 과정 핵심 단백질 기능 밝혀 DNA 복제 과정에는 수많은 단백질이 관여한다. 복제를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

    과학동아 2020년 01호

    효과가 있다. 실제로 인간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베이스 에디팅 기술로 A-T 염기쌍이 G-C 염기쌍으로 변환됐고, 변환 효율이 최대 50%로 기존의 유전자 교정 기술보다 현격히 높아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doi: 10.1038/nature24644 하지만 베이스 에디팅 기술도 한계는 있다. 가령 아데닌(A)을 티민(T)으로 ...

  •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7호

    성공했어요. 2005년, 밀 유전체 해독 연구를 시작한 이후 13년 만의 일이에요. 밀 유전체의 염기쌍 수는 160억 쌍으로 30억 쌍인 사람보다 5배 이상 많아 오래 걸렸지요.연구팀은 밀 유전체의 전체 서열을 알아냈어요. 또, 변이가 생기면 기능이나 형태에 변화가 일어나는 DNA 염기 400만 개를 찾았지요. 그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2019년 09호

    read)’ 방식을 사용해 이런 단점을 보완했다. DNA를 적게는 1만 염기쌍에서 많게는 300만 염기쌍 길이로 잘라서 읽은 뒤 순서대로 조립해 나갔다. 반복되는 리드끼리 이어붙이고, 이어붙인 염색체를 다시 방향을 맞춰 연결하고 빈 공간을 메웠다. 여기서 이 연구원의 활약이 빛났다. 그는 일일이 사람이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2019년 06호

    그래서 RNA 세계 가설의 완성을 위해서는 피리미딘계 뉴클레오티드를 제외한 또 다른 염기쌍 하나를 합성해내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다만 퓨린계 뉴클레오티드는 초기 지구 환경에서 합성이 어렵다는 점에서 과학자들은 조금씩 다른 발상을 떠올리기 시작했다. 지구 첫 생명체의 유전정보 체계가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2019년 06호

     최근 많은 연구 결과들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현재의 생명체와는 어느 정도 달랐을 것이라는, 즉 다른 염기쌍 시스템을 가졌을 것이라는 가설에 더욱 ... DNA 데이터 저장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며 “앞으로 5쌍, 6쌍까지 염기쌍을 계속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