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05호

    하나씩 빠지면서 그 자리에 영구치가 자라지요. 게다가 입 안 깊은 곳에서는 상하좌우에 어금니가 세 개씩 더 자라요. 그래서 성인이 되면 치아가 모두 32개가 된답니다. 그런데 영구치는 한번 빠지면 새 치아가 자라나지 않아요. 그래서 치아가 상하거나 부서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지요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2015년 04호

    둘째 뒤어금니보다 작아지는 특징이나 ‘턱뼈가지’라고 부르는 턱뼈 부분이 마지막 어금니 뒤에 오는 것도 호모 속에 가까운 특징이다. 치아에 난 돌기는 호모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을 고루 보이고 있었다.혹시 둘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제3의 종일 가능성은 없을까. 당시에는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

    과학동아 2015년 02호

    식물도 많이 거칠어진 시기였다. 하지만 이 인류는 변화를 거부하고 거친 식물을 먹었다. 어금니가 커지고 턱이 강해졌지만 한계에 이르렀고, 약 100만 년 뒤인 지금부터 150만 년 전에 멸종했다. 고기를 먹게 된 진화가 얼마나 획기적이었는지 알 수 있다.더구나 인류는 석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02호

    그리고 그 결과 턱이 퇴화하기 시작했답니다. 턱이 작아졌을 뿐 아니라, 첫 번째 어금니를 제외한 치아도 모두 작아졌지요.직립보행을 하면서 손을 많이 쓰게 된 것도 턱을 퇴화시킨 원인이에요.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면서, 밥 먹는 용도 외에는 더 이상 동물처럼 입으로 뭔가 뜯거나 부수지 않아도 ...

  •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01호

    강도가 세요. 그래서 우리가 거미줄로 집을 짓고 먹이를 사냥할 수 있는 거예요.거미는 어금니 같은 이빨이 없어서 먹이를 씹을 수 없어요. 그 대신 송곳니에서 나오는 독으로 먹이를 마비시키고, 네 개의 턱과 입술을 이용해 수액을 빨아 먹지요. 이때 수액이 잘 나올 수 있게 먹이의 몸속에 미리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2014년 07호

    여성은 갸름한 얼굴형이 많은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다. 또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큰 어금니로 과일 등 부드러운 음식을 주로 먹은 것으로 나타난 점과도 들어맞지 않는다 ...

  • 셀레스틴이 알려 주는 이빨의 비밀 어네스트와 셀레스틴

    셀레스틴이 알려 주는 이빨의 비밀 어네스트와 셀레스틴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04호

    주겠어!끝없이 자라는 쥐 이빨!우리 쥐들은 끌 모양의 큰 앞니 한 쌍과 입 깊숙한 안쪽에 어금니들이 있어. 특히 앞니는 ‘치근’이라고 불리는 치아뿌리가 없어서 사는 동안 끝없이 자란단다. 치근은 잇몸과 뼈 속에 있는 치아 부분인데 일반적으로 턱으로 부르는 상악과 하악 안에 심어져 있어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2014년 03호

    그런데 2009년 새롭게 발표된 400만~600만 년 전 친척 인류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의 어금니는 침팬지보다 훨씬 작고 뭉툭하다. 이는 공격성이 줄어들었다는 뜻으로, 라미두스가 침팬지보다 평화적인 방법으로 경쟁했다는 증거다. 화석을 연구한 미국 켄트주립대 인류학과 오언 러브조이 교수는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

    어린이과학동아 2013년 12호

    발표됐답니다.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이 벨기에에서 발견한 아기 네안데르탈인 어금니의 ‘바륨’과 ‘칼슘’의 비율을 분석했어요. 이렇게 하면 이가 만들어질 무렵에 아기가 무얼 먹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지요. 그래서 생후 7개월까지는 모유만, 14개월까지는 모유와 이유식을 함께 먹고 그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2013년 11호

    따라서 공격에 쓸 앞니와 송곳니는 서서히 사라졌고, 풀을 잘 씹는 데 필요한 앞어금니어금니의 크기가 커졌다. 구조도 잘 씹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와 반대로 개와 같은 육식 동물은 먹잇감을 공격하고 살을 잘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송곳니가 크고 잘 발달했다.매머드나 마스토돈 같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