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2010년 05호

    온통 붉은색으로 물들어 있는 갖가지 모양을 한 절벽과 남문바위, 병풍바위, 탕건바위, 심금리굴, 흔들바위, 기둥바위, 시루떡바위 같은 명소는 보는 사람의 눈을 즐겁게 한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05년 홍도에 철새연구센터를 처음 설립했다. 면적 6.47km2의 작은 외딴 섬에 철새연구센터를 지은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2009년 10호

    힘찬 기상을 뿜어내지만 높은음에서는 애절함을 담아내는‘두 얼굴’도 가졌다. 그래서 심금을 울리는 민속악인 산조나 민요연주에서도 중요한 몫을 한다.‘피리’라는 용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기다란 관악기를 통칭하는 대명사처럼 쓰인다. 하지만 국악기에서 피리는 팔음(八音)분류법 중 ‘죽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2008년 09호

    그대로 한 가족인 셈이죠. 아, 인도에 사는 소들이 부럽다! 마하트마 간디가 남긴 말이 제 심금을 울리네요.인도에서 소는 최고의 친구다. 소는 많은 걸 준다. 젖을 줄 뿐 아니라 농사가 가능하게 한다. 소는 동정심의 시(詩)다. 우리는 이 점잖은 동물을 보면서 동정심을 읽는다. 소는 인류에게 두 번째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2006년 06호

    지난 5월 북소리 같은 저음은 귀로 듣지 않고 몸이 울려 느낀다는 사실을 밝혔다. ‘심금을 울리는 북소리’의 힘이 실제로 증명된 것이다. 지난 2002년 월드컵 내내 뜨거운 응원을 펼친 붉은악마의 힘, 그 비결은 바로 북소리에 숨어있었다.인체는 북소리 느끼는데 좋은 구조우리 귀는 20~2만 헤르츠(Hz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2006년 01호

    직접 움직이는 스포츠나 춤은 물론이고 노래는 성대라는 몸의 일부를 조절해야 하며, 심금을 울리는 명강의도 목소리를 내기 위해 발화, 어조, 제스처 등 몸을 써야 한다.신체 움직임의 대부분은 뼈와 근육의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데, 사람의 몸은 힘을 덜 쓰고 속도를 많이 낼 수 있게 돼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2005년 03호

    현재 나이 22세)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잔잔한 감동을 안겨주며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자폐’(自閉), 즉 ‘스스로 문을 걸어 닫는다’는 뜻의 이 말은 일상 생활에서 비유적으로 흔히 쓰인다. “야, 넌 요즘 사람들을 피하고…, 너무 자폐적인 거 아냐?” “시험 떨어졌다고 자폐아처럼 ...

  • 에밀레 종 비밀은 맥놀이

    에밀레 종 비밀은 맥놀이

    과학동아 1998년 09호

    타종 때마다 퍼져나가는 낮고 긴 여운은 1천3백여년 동안 변함없이 우리 민족의 심금을 달래주었다.그러나 신종에는 신라인들의 음향공학의 정수가 깃들여져 있다는 것이 현대과학으로 밝혀졌다. 1996년 가을 경주박물관을 주축으로 신종의 종합적인 건강을 진단하고, 음향실험을 한 결과 신종이 ...

  • 헝가리

    헝가리

    과학동아 1989년 02호

    목축이 성하며 특산물은 거위다. 그리고 포장마차가 자주 눈에 띄며 집시의 노래가 심금을 울린다.집시는 옛날엔 보헤미안이라고 했다. 보헤미아왕으로부터 여권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방랑민은 10세기경이래 인도북쪽에서 각지로 이동했다. 그들은 정복자도 아니고 이동유목민도 아니다.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1987년 07호

    된 김 두태 씨와 출생시의 결함으로 고통받는 아기 연민이의 이야기는 한국인의 심금을 울렸고, 삶의 길이보다 질이 더 문제라는 의식을 일깨웠다. 비극적인 상황에서 삶을 연장시키는 조치가 취해져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개인의 '삶에 대한 결의권'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