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

    과학동아 2022년 01호

    방정식이라 비유했다.아인슈타인과 그 이전의 과학자들이 그랬듯이, 아직 그 누구도 신의 마음을 읽어내지 못했다. 하지만 온갖 실패의 흔적으로 가득 찬 단 하나의 방정식을 향한 여정에 여전히 물리학자들은 기꺼이 탑승한다. 책 ‘단 하나의 방정식’을 저술한 미치오 카쿠 미국 뉴욕시립대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2021년 12호

    과거 그린 스크린 방식과 차이를 느끼기는 어렵다”며 “다만 VP 환경에서는 배우가 자신의 위치와 시선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명이나 색감 등 후보정으로 완성되던 부분까지 촬영현장에서 대부분 이뤄지면서 배우들이 더욱 편안한 환경에서 연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VP를 위한 ...

  • [SF소설] 바키타

    [SF소설] 바키타

    과학동아 2021년 11호

    다른 이유도 여기에 있어 보입니다. 바키타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비춰지지 않도록, 자신의 의사를 더 잘 전달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문명 인간과 숲속 인간은 비슷하지만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네 발 달렸다고 해서 말과 소가 같게 느껴지지 않았듯이 말입니다.문명 인간은 딱 한 번 숲속 인간들이 ...

  •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

    과학동아 2021년 09호

    한참 뒤에 무죄로 밝혀진 경우도 있다. 의도치 않게 거짓 기억을 갖게 된 사람은 자신의 인생이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허구인지 몰라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기억하는 것이 곧 사는 것이다’라는 격언처럼 기억은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좋고 나쁜 모든 과거를 거울삼아 현재를 해석하고 ...

  • 즐겁다! 에프매스의 무의식 스도쿠 세상!

    즐겁다! 에프매스의 무의식 스도쿠 세상!

    수학동아 2021년 08호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인 스도쿠 참여를 기다리고 있답니다!  ● 스도쿠를 풀 수 있는 신의 한수는 존재할까?스도쿠는 규칙이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난이도의 스도쿠가 쉽게 풀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퍼즐 게임입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스도쿠는 어떤 컴퓨터 알고리듬이나 수학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2021년 03호

    원주율과 원은 과거부터 아주 특별했습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러 문명에서 원은 신의 상징, 혹은 완벽의 상징으로 여겨왔습니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완전한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죠. 군론에서도 원은 아주 특별합니다. 대칭의 관점에서 보면 원은 완벽히 대칭적인 도형이기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2020년 11호

    역추진 로켓에까지 스며들지는 않았다. 상자 내부에 제습제를 가득 채워놓은 것은 ‘신의 한 수’였다. 이후 정밀한 성능 검사에서도 역추진 로켓의 성능에 문제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가슴을 쓸어내렸다.   ‘마지막’이라는 부담감과의 싸움 태풍을 견디는 시간이 지나니, 10월 26일 나로호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

    수학동아 2020년 09호

    희망이 사라져 가던 맨유였지만, 겨울 이적시장에서 브루노 페르난데스를 영입한 것이 신의 한 수가 되어 반전을 이뤄냈습니다. 페르난데스 영입 후 첫 경기였던 25라운드 때만 해도 7등으로 밀려나 있던 맨유지만, 그 뒤로 38라운드까지 13경기를 9승 4무 0패라는 무패행진으로 역대 최고급 반전을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

    과학동아 2020년 08호

    있을까. 또 가속기로 우주의 비밀을 얼마나 밝혀낼 수 있을까. 4층 건물 크기 검출기로 ‘신의 입자’ 발견필자가 처음 CERN을 찾은 건 2000년 대학원생이었을 때다. 당시 CERN은 ‘미래 가속기’로 불리던 LHC 구축에 한창이었다. 원형으로 설계된 LHC에는 입자(양성자)가 충돌하는 4개 지점에 검출기가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게 보여요”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게 보여요”

    과학동아 2020년 05호

    중요하다”고 말했다. 돌이켜보면 서울과학고 진학은 지금의 엄 대표를 있게 만든 ‘신의 한 수’였다고. 모든 일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준비해야 하는 학풍 덕에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찾아 하는 법을 배웠다. 기상천외한 도전도 많이 했다. 창의력경진대회에서 대포를 만들어 선보였고, 소듐(Na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