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2018년 03호

    1988년 기지 준공 뒤 기지 주변에 살고 있는 펭귄, 물개, 지의류 등 육상 식생과 기지 앞 바다 마리안 소만의 조간대와 바닷속에 서식하는 해조류, 저서동물에 대한 기초 조사에 착수하며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본격적인 해양생물연구는 1990년대 시작됐는데, 특히 기지 앞바다에 많이 살고 있는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

    과학동아 2017년 07호

    자라는 식물들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전쟁으로 나라가 폐허가 된 뒤 조림사업을 하면서 식생 분포가 달라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 이유로, 같은 장소에서 흙을 채취해 소지와 유약을 만들어도 성분 구성과 비율이 전과 같을 수 없다. 황 교수는 “고려청자나 조선백자는 유약을 만드는 레시피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2017년 05호

    요정의 원 주위에는 건기에도 식물이 자랄 수 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원의 크기와 식생 밀도, 분포 지역의 넓이 등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토양 속에 질소가 많고 강수량이 많을수록 원의 크기가 작았어요. 원과 원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

    과학동아 2017년 04호

    분석했다(doi:10.1088/1748-9326/11/4/045008). 화재 전후에 찍은 숲의 위성 사진을 사용해 화재로 식생이 손실된 정도를 측정한 결과,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해충 피해가 큰 지역일수록 산불의 규모와 피해 정도가 작았다.연구팀은 해충이 본의 아니게 숲을 ‘솎아베기’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

    과학동아 2017년 03호

    사는 살찐꼬리난쟁이 여우원숭이를 연구해 알게 된 사실이다. 마다가스카르 섬은 기후와 식생이 독특해서, 다른 지역에서 보기 어려운 독특한 영장류가 많이 존재한다.동물의 겨울잠은 그냥 잠과는 다르다. 잠은 충전의 시간이다. 음식을 먹지는 않지만, 낮에 사용할 에너지를 충전하는 신체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과학동아 2017년 03호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하기에 아주 적합한 조건이다. 필자의 연구팀은 이곳의 식생과 토양의 유기물 발달, 그에 따른 미생물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현장 조사는 아주 정직하게 이뤄진다. 측정 장비를 짊어 메고 울퉁불퉁한 자갈밭을 걸어 다니며 20~30kg 되는 토양을 채집한다. 가끔 개천이 나오면 ...

  • [Culture] 플레이 전략 3

    [Culture] 플레이 전략 3

    과학동아 2017년 03호

    곳곳에서 비슷한 확률로 나타나면 재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각 지역의 지리와 기후, 식생, 그리고 밤낮에 따라 성질이 비슷한 포켓몬이 나오도록 설정했다. 예를 들면 호숫가에서는 발챙이나 잉어킹 같이 물 성질의 포켓몬이 잘 나온다. 또 피카츄나 잠만보처럼 인기가 많은 포켓몬은 일부러 확률을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2017년 03호

    최용상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지구시스템모델을 개발할 때는 대기, 지면, 식생 등 각 분야의 모델을 부분적으로 개발한 뒤 합치는데, 이때 요소 간 상호작용이 의도치 않게 바뀌어 기후민감도가 바뀌는 일이 종종 생긴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린첸 교수와 함께 기후민감도를 새롭게 ...

  • [과학뉴스] 하마 이빨에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

    [과학뉴스] 하마 이빨에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

    과학동아 2016년 10호

    달라졌는지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향후 대형 초식동물의 수가 늘거나 줄었을 때 식생이 어떻게 달라질지도 추측할 수 있다.연구팀은 우간다의 엘리자베스여왕국립공원에서 1960년대부터 2000년까지 수집된 하마의 이빨에 들어 있는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1960년대에는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2016년 09호

    얼마나 함유하고 있는지를 알아내 풍화에 취약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생이 많이 자란 곳은 적외선 영역의 붉은색 파장이 많이 검출된다. 붉은색 파장이 이전보다 세진 곳은 식물이 뿌리를 내려 암반이 약해진 곳이다. 초분광 카메라는 암질도 최고 11가지로 구분해낼 수 있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