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 키메라가 뭐야?

    [기획] 키메라가 뭐야?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1호

    그동안 과학자들은 여러 동물과 식물을 이용해서 키메라 연구를 해왔어. 그런데 최근 사람과 원숭이 세포를 융합한 키메라 연구가 유독 논란이 된 이유는 뭘까? 바로 키메라가 만들어지는 연구 과정에 답이 있지!  한 배아에서 사람과 원숭이가 함께 자란다4월 15일, 미국 소크생명과학연구소의 후 ...

  • [가상 인터뷰] 콜록콜록, 꽃가루가 왜 벌써 날리지?!

    [가상 인터뷰] 콜록콜록, 꽃가루가 왜 벌써 날리지?!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1호

    봄바람을 느끼려고 창문을 열었더니….코가 간질간질, 콜록콜록!꽃가루가 날리잖아?꽃가루가 점점 빨리 오는 것 같은데, 기분 탓인가?   켁,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 난 꽃가루야. 꽃가루는 식물의 수술에서 만들어지는 생식 세포야. 인간의 몸으로 치면 정자와 같은 역할을 맡았지. 우린 암술과 ...

  •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

    과학동아 2021년 11호

    2019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과학계가 분주해졌다. 과학자들은 즉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앞장섰고, 직접 접촉 외에 감염자의 물건을 만져 발생하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한 노력도 잇따랐다. 근본적으로 바이러스를 죽이는 생화학적 연구부터 물리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2021년 10호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총 638만 가구이며 반려견과 반려묘의 수는 860만 마리에 달했다. 반려견은 521만 가구에서 602만 마리를, 반려묘는 182만 가구에서 258만 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2021년 09호

     “동물과 식물은 얼마나 닮았을까요. 그동안 적어도 노화 과정만큼은 동물과 식물이 많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해 왔어요. 하지만 최근에는 동식물을 넘어 모든 생물에 적용되는 노화의 비밀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우혜련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 [쇼킹 사이언스] 머리를 잘라내도 살 수 있다?!

    [쇼킹 사이언스] 머리를 잘라내도 살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8호

      머리와 몸이 분리돼 각각 꿈틀거립니다. 머리는 혼자 기어 다니며 생명을 이어가죠. 마치 공포영화에 나올 것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났어요! 지난 3월 8일 일본 나라여자대학교 사야카 미토 연구팀은 심장이 없어도 살 수 있는 생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그 주인공은 바로 바다에 사는 갯민 ...

  •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8호

    이번엔 베어낸 나무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할 차례입니다. 숲 가꾸기를 위해 베어낸 나무를 버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뭘까요?    대세는 목조 건축지난해 3월, 프랑스는 2022년 이후 새로 짓는 공공건축물의 절반 이상을 나무로 짓겠다고 발표했어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천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

    수학동아 2021년 07호

     모든 생명체는 24시간의 생체리듬을 갖고 있습니다. 계절과 온도에 따라 이 주기가 변동될 것 같지만 생체리듬은 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생명체가 생체리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메커니즘은 60년이 넘도록 풀리지 않는 생명과학 분야의 난제였습니다. 지난 2015년, 한 수학자가 수학 모델을 토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2021년 07호

    한강의 역사는 종종 한반도 문명의 역사와 동일시된다. 물을 쉽게 이용해 선사문화가 탄생했다거나 한강 유역을 차지하는 국가가 가장 번성했다는 식이다. 하지만 인류가 한강을 목격하기 훨씬 이전부터, 심지어는 인류가 존재하기 전부터 한강은 한반도를 흘렀다. 한강 역사의 첫머리는 땅이다.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6호

    덕분에 산소로 호흡하는 다양한 생물이 지구에 등장하게 된 것이지. 초록색 식물세포에서 광합성을 하는 장소인 엽록체는 바로 내가 진화한 모습이란다. 최근에는 화성에서 산소를 만들 수 있는 생물로 주목받고 있어. Q. 그냥 식물을 화성에 데려갈 순 없어? A. 식물은 산소로 호흡하기 때문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