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

    과학동아 2021년 02호

    활성화되거나 기능이 약해지면 신경계에 이상이 생기며 질환으로 발전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시냅스의 불균형으로 지목되고 있다.신경과학 연구자들은 시냅스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백질이 뇌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엄 교수는 시냅스를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

    과학동아 2021년 01호

    것이다. 보통 천체들 역시 주로 스펙트럼형에 따라 분류한다. 천체가 반사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표면이 탄소, 규소 등 어떤 성분으로 구성돼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고래도 알고 보니 포유류였듯이, 겉만 보고는 제대로 알 수 없는 법. 직접 뜯어볼 수 있는 탐사가 필요하다.  C형 소행성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

    과학동아 2021년 01호

    하며, 공기 지연율은 0.1ms(밀리초) 이하, 신뢰도는 10-7 이하로 더 낮춰야 한다. 여기에 스펙트럼 효율은 주파수당 100bps 수준으로 5G(30bps/Hz)보다 2배 이상 높아져야 한다.  통신 세대를 구성하는 세부 성능규격은 수많은 통신업계와 연구그룹이 참여하는 글로벌 파트너십인 3GPP 회의에서 결정된 내용을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태양전지, 스펙트럼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태양전지, 스펙트럼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0호

    오늘도 과학마녀 일리가 왔어~. 요즘 날씨가 좋아서 밖에서 실험을 해보려고 나갔는데…, 너무 멀리 가서 사막까지 와버렸지 뭐야! 결국에는 전기가 필요해서 태양전지 ... 통과시켜 스크린에 비추면 모든 색깔의 빛이 끊어지지 않고 연속해 나타나요. 이를 ‘연속스펙트럼’이라 합니다 ...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0호

    ALMA)’를 사용해 다시 금성을 관측했어요. 그리고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에서 또다시 흡수선 굴곡을 확인하였답니다.이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금성 50km 고도의 대기 속 포스핀의 양은 20ppb였어요. ppb는 대기 10억g에 포함된 미량물질의 질량을 g으로 표시한 단위로, 20ppb는 공기 분자 10억 개 중에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4호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돼 지난해 7월 러시아 연방우주공사의 스펙트럼-뢴트겐-감마(SRG) 위성에 실려 우주로 갔어요. 이후 7대의 카메라로 182일간 150~200초 마다 한 번씩 모든 방향의 우주를 찍었지요. 그 결과, 엑스선을 내뿜는 천체를 백만 개 이상 발견했어요. 이는 지난 60년간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

    과학동아 2020년 11호

    NASA) 등 공동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호의 분광장치(LEISA)로 촬영한 초해상도 공간 스펙트럼 데이터를 사용해 크툴루 지역에 있는 메탄과 질소의 분포를 지도로 나타냈다. 그 결과, 크툴루 지역 산꼭대기에 형성된 서리는 99% 이상 메탄 성분이었다. 명왕성의 산이 메탄과 질소로 덮여 있을 것이란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2020년 09호

    붉은색을 띠는 배설물을 찾는 것이다. 지표에서 반사돼 위성으로 들어오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붉은색과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시키는 배설물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펭귄의 배설물을 찾고 서식지를 확인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서식지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다. 전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2020년 08호

    치료에 쓰인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다. 특히 정신질환에서 쓰임이 두드러지는데,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도 그중 하나다.제임스 타나카 캐나다 빅토리아대 심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자폐 아동을 위한 ‘렛츠 페이스 잇(Let’s Face it)’이라는 게임을 태블릿PC용 애플리케이션(앱)으로 2016년 ...

  • [한페이지 뉴스]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

    [한페이지 뉴스]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

    과학동아 2020년 06호

    고속 빔 전환 및 제어 기술(fast beam switching and controls systems)을 이용해 GCR과 유사한 이온 빔 스펙트럼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일반적인 이온 빔 장치가 한 가지 이온을 조사하는 것과 달리, 연구팀은 여러 종류의 이온을 연속적으로 내는, 실제 GCR에 가까운 조성의 이온 빔을 재현했다. 연구팀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