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2010년 04호

    황색 요소가 우성이므로 잡종 완두콩 두 개는 모두 황색으로 나타난다.따라서 서로 다른 순종 부모를 교배했을 때 생기는 자손의 모양은 우성과 열성의 비가 3:1로 나타난다. 수학을 이용하면 자손이 어떤 모양으로 나타날지 예측할 수 있다는 뜻이다.✚보이지 않아도 찾을 수 있다지구에서 눈으로 ...

  • '초식남'과 '건어물녀'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2009년 10호

    그동안 남성의 위상은 절대적이었다. 남성에게는 강인함과 씩씩함을, 여성에게는 순종과 부드러움을 강요하며 남성에게서 아니마를, 여성에게서 아니무스를 억제해왔다. 그러나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며 남녀의 역할은 평등해졌고, 남성다움과 여성스러움을 구별하는 일이 무의미해졌다.더욱이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2008년 10호

    각 유전자에 대한 열성 순종(aa, bb, dd)은 꽃 색깔을 전환시키는 효소를 만들지 못한다. 순종유전자중 AABBDD는 다음 그림과 같이 염색체 위에 배열된다고 한다. 다음은 이 식물을 교배한 것이다. 물음에 답하라. 1) P와 F1 세대에 있는 식물의 꽃 색깔을 결정하라. 2) F1 세대에서 식물 (마)와 식물 (바)의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2008년 08호

    사나울수록 투견에 적합하기 때문에 이런 쪽으로 개량이 됐다”며 “제대로 훈련받은 순종은 사람을 공격하지 않지만 방치된 잡종이 문제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도사견 잡종은 잘 자라고 고기 맛도 좋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많이 키우는데 우리를 탈출하거나 목 끈이 풀린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2008년 01호

    쥐의 ‘족보’를 철저히 관리합니다. 혼혈 쥐가 생기지 않도록 순수 ‘잭슨표’(jax) 순종 쥐만을 키운다는 뜻입니다.Q2 그 결과 잭슨연구소에서만도 노벨상을 2번이나 수상했다고 들었습니다.1975년에는 데이비드 발티보어 박사가 암 바이러스와 유전자의 관련성을, 1980년에는 조지 스넬 박사가 ...

  • 조선조류열전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2008년 01호

    표본 대부분은 일본으로 건너갔고 일부는 창덕궁 동물원의 표본관에 전시됐다. 일제는 순종을 ‘이왕’(李王)이라고 낮춰 불렀기에 표본관의 이름도 ‘이왕직박물관’ 또는 ‘이왕가박물관’이라고 붙였다.1984년 필자는 국립과학관으로부터 흥미로운 요청을 받았다. 이왕직박물관의 표본을 ...

  • 특집1. 우리 어린 날의 초상

    특집1. 우리 어린 날의 초상

    과학동아 2006년 05호

    신체적으로 강인해 보이지 않는다. 신체적인 경쟁이 심한 남자의 경우 동안이어서 순종적이고 무력해 보인다는 것은 집단에서 서열이 낮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물론 사회가 변하면서 신체적인 힘 이외의 다른 요소들이 중요하게 취급되지만 여전히 특정 분야에서는 신체적인 힘이 중요한 가치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2004년 03호

    중요하기 때문에 엄격한 위계질서와 규범이 생겨난다. 이런 사회구조 하에서 각 개인은 순종, 협동, 겸양 등을 중요한 덕목으로 배우는 사회화 과정을 거친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기 위해 관심을 권력자를 비롯한 다른 사람들, 즉 주변 환경으로 돌린다. 뿐만 아니라 이런 환경 속에서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2003년 01호

    팔기 시작하면서다. 이들 연구자 중에 클레렌스 쿡 리틀은 1909년 처음으로 실험실에서 순종교배한 실험용 쥐를 탄생시켰다.실험 동물로서 쥐의 가치는 1980년 이른바 ‘낙-아웃’(knock-out) 쥐가 탄생하면서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은 이때부터 여러가지 방법으로 쥐의 유전자를 작동 못하게 ...

  • 식물도 생각할까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2001년 10호

    향기를 품어 벌과 나비를 불러들이고, 또한 맛있는 열매를 제공해주는 그저 온순하고 순종적인 것쯤으로만 생각해 온 사람들에게 곤충을 잡아먹는 식물이 과연 식물일 수 있을까 하는 반문을 제기할 수도 있겠다. 아가리를 잔뜩 벌리고 있다가 날아오는 파리를 통째로 삼키는 파리지옥풀은 말그대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