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

    과학동아 2023년 05호

    결정되는 문제가 아니며, 도파민의 농도가 같더라도 이를 받아들이는 수용체의 민감성, 수용체 자체의 유전적 차이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고 했습니다. 환자들 사이에서도 부작용이 이 중 어떤 양상으로, 어떤 강도로 나타날지는 약을 쓰기 전에 모릅니다. 이 때문에 ADHD치료제를 처방할 때는 ...

  • [과학뉴스] 빨간 물 마실까, 파란물마실까

    [과학뉴스] 빨간 물 마실까, 파란물마실까

    과학동아 2023년 05호

    나무에 앉은 초파리가 붉은색 중성 액체를 두고는 파란색의 알칼리성 액체를 흡입하고 있다. 이 초파리는 알칼리성 음식을 감지하는 미각 수용체 ‘알카(Alka)’가 결여 ... 즉 신맛을 느끼는 미각 수용체는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져있었지만 알칼리성 미각 수용체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

    과학동아 2023년 05호

    잠시 자극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그간의 중독상태에서 벗어 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수용체의 양이 쉽게 줄어들지 않거든요. 오히려 중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그리고 성취했을 경우 보람과 이득이 더 큰 일들을 계획하고 거기에 집중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Q.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파민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

    과학동아 2023년 05호

    분자구조가 약간 다르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세마글루타이드가 뇌의 GLP-1 수용체와 더 잘 결합해 음식을 덜 갈망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현상이 두 분자의 어떤 구조 차이에서 오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부작용 없는 ‘진짜 기적의 다이어트약’을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4호

    불소가 들어 있습니다. 합성 계면활성제가 미뢰의 단맛 수용체는 둔하게 만들고, 쓴맛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쓴맛이 잘 느껴지는 거랍니다.Q. 사람의 머리카락은 몇 개 정도 되나요?A. 사람의 생김새가 모두 다르듯 머리카락 개수도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평균적으로 5만~10만 개의 머리카락이 ...

  •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1호

    참여한 매튜 수 박사는 “모기의 특정한 세로토닌 수용체를 찾는 것이 목표”라며, “수용체를 찾는다면 다른 생물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고 모기의 세로토닌만 조절해 모기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어 ...

  • [과학뉴스] 인공 망막에 찾아온 노화

    [과학뉴스] 인공 망막에 찾아온 노화

    과학동아 2023년 01호

    신경세포를 현미경으로 본 모습이다. 노화성 황반변성이 발병한 이후 녹색으로 염색된 광수용체 세포 수가 줄고, 붉은색으로 염색된 뮐러세포 수가 늘었음을 알 수 있다 ...

  • [가상 인터뷰] 눈으로 안 봐도 간지럼은 전염된다?

    [가상 인터뷰] 눈으로 안 봐도 간지럼은 전염된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1호

    더 이상 따라 긁는 행동을 하지 않았거든. 결국, 정확히는 뇌의 시교차상핵과 연결된 광수용체 ‘감광신경절세포●’ 부위가 긁는 행위를 보는 시각적인 인지 없이도, 따라 긁도록 만들었다고 판단했어. 어떻게 그런 능력을 갖게 된 거야?저우펑 첸 교수는 “따라 긁는 행동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

  • [만화 뉴스] 찌릿! 전기 자극으로 짠맛 내는 젓가락!

    [만화 뉴스] 찌릿! 전기 자극으로 짠맛 내는 젓가락!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0호

    젓가락과 연결된 작은 컴퓨터에서 젓가락으로 전류를 흘려보내요. 원래 혀의 미세포 미각수용체가 나트륨 이온●을 흡수해 짠맛을 느끼는데, 이 현상이 더 잘 일어나도록 미세포를 자극하는 거죠. 실험 참가자 36명이 이 젓가락을 사용했을 때 나트륨이 30% 더 많은 짠맛과 비슷하다고 답했어요.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2022년 09호

    만들어낸다. 단백질은 우리 몸 곳곳에서 소화를 돕기도 하고, 침입자를 감지하는 수용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단백질을 만들 때 설계도 역할을 하는 DNA 서열이 바로 ‘유전자’다. 비암호화 영역은 유전체에서 유전자를 뺀 나머지 부분이다.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지 않다는 뜻에서 비암호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