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

    과학동아 2024년 03호

    비행기의 앞과 뒤에서 만들어져, 지상의 관찰자는 비행기가 지나갈 때 두 번의 ‘쾅’ 소리를 듣는다. “즉 초음속기에서 최대한 약한 소닉 붐을 만드는 것이 관건입니다.” 2월 1일 만난 김규홍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조용한 초음속기 기술의 핵심을 이같이 설명했다. 충격파는 초음속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3호

    할 수 있는 받침대가 동그랗게 늘어서 있습니다. 받침대 위에 올라섰을 때, 위잉하는 소리와 함께 갑자기 망원경이 천천히 빙글빙글 돌기 시작했어요.“지금 돌고 있는 게 우리인가요, 바닥인가요?”저는 망원경이 제 주위를 도는 걸로 착각하고 직원에게 물어봤어요. 하지만 돌고 있던 건 망원경이 ...

  • [기획] SUPER SONIC, 조용히 소리보다 빠르게, 초음속 비행기의 미래

    [기획] SUPER SONIC, 조용히 소리보다 빠르게, 초음속 비행기의 미래

    과학동아 2024년 03호

    기사를 보려면?Intro. SUPER SONIC, 조용히 소리보다 빠르게, 초음속 비행기의 미래Part1.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Part2.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Part3. 콩코드가 먼저 겪은 초음속 여객의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

    과학동아 2024년 03호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우리는 ‘소리’의 형태로 인지한다. 그러나 물체의 움직임이 소리의 속도보다 빨라지면 공기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흐르면서 공간을 내어줄 시간적 여유가 없어지고, 물체에 그대로 부딪히게 된다. 이때부터는 물체 주변에 한꺼번에 부딪혀 밀려나는 공기가 강하게 압축돼 ...

  • 타디그레이드 피플

    타디그레이드 피플

    수학동아 2024년 03호

    고장 난 게 아니라 도서관의 불이 꺼진 것 같아. 나도 아무것도 안 보여.”“진짜? 네 목소리는 잘 들리긴 하네. 지금 옆에 있는 거 맞지?”“응, 나 여기 있어.”선은 미아가 앉아 있던 방향의 허공을 조심조심 더듬었다. 미아의 팔이 금세 손끝에 닿았다. 미아는 자신의 팔에 와 닿은 선의 손을 덥석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쏟는다. 이들이 체계적으로 쌓아 올린 지식은 후일 또 등장하게 될 위대한 ‘발견’에 소리없이 지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과의 우화를 한 과학자가 스스로를 멋지게 포장한 사례 정도로 받아들일 때, 인류의 진보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적 활동으로서 과학을 이해하고, 이런 체계적 과학에 ...

  • [SF소설] 엔딩의 발견

    [SF소설] 엔딩의 발견

    과학동아 2024년 03호

    만들기 때문이다.“혹시 내일모레 새벽은 괜찮아?” ★★는 정말로 미안한 것 같은 목소리였다. “괜찮아요. 아직 소원을 생각 다 못 했으니까.” 아리는 이틀 후 삼성역 근처 24시간 카페로 나가는 길에도 결정짓지 못한 채였다. 돈을 소원으로 빌 수는 없다고 했으므로, 좋은 곳에 취직되게 해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

    과학동아 2024년 02호

    또한 물소리에 따라 바뀐다. 물소리가 크면 공기방울과 더 많이 섞인다는 뜻이므로, 물소리가 클수록 차가 더 잘 식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뜨거운 음료를 잘 마시지 못한다면, 차를 내오는 점원에게 차를 요란스럽게 따라 달라고 요청해보는 건 어떨까. 과학이 티타임에 이렇게 이롭다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

    과학동아 2024년 02호

    떠오르는 경우는 음악이라거나 경제 같은 단어다. 어렴풋한 생각은 맴돌지만 음악과 소리의 기준이 무엇인지, 재화나 용역을 어떻게 해야 경제로 이어지는지 조리 있게 말하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렇다면 물질은 어떨까? 우리가 물질이란 단어를 편하게 쓰는 만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

  • [광고] 소닉 더 헤지혹

    [광고] 소닉 더 헤지혹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2호

    소리가 퍼지는 속력보다 빠르기 때문에, 압축된 공기가 충격파를 만들어내 엄청난 소리가 발생합니다. 소닉의 필살기 또한 몸을 웅크린 뒤 초음속의 속도로 부딪히는 스핀 어택이에요. 총알보다 빠른 소닉, 정말 멋지지 않나요?  소닉의 베스트 프렌드,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소닉에게는 모험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