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지막 경기, 아이스크림 탑 쌓기!

    마지막 경기, 아이스크림 탑 쌓기!

    어린이수학동아 2024년 05호

    마지막 경기는 아이스크림 탑 쌓기! 초코 아이스크림은 바닐라 아이스크림보다 몇 배 높은 층에 있을까요?   마지막 경기까지 무사히 성공! 잠깐, 저 커다란 스쿱은 뭐죠?운동회가 끝나서 다시 아이스크림들을 데려가려나 봐요.다음번엔 배 속에서 만나요, 안녕~!  

  •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5호

    4가지의 버섯 유전자를 담배나무 유전자에 넣어 스스로 빛을 내는 나무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지구 생물량의 80% 가까이 차지하는 식물에는 생물발광을 하는 종이 없는 걸로 알려져 있지만, 식물에 발광 생물의 유전자를 주입해 빛나는 식물을 처음으로 만든 거죠.  프랑스 기업 글로위는 균의 ...

  • [메타버스 여행법] 대결에서 승리하라! 격투 게임

    [메타버스 여행법] 대결에서 승리하라! 격투 게임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5호

      격투 게임은 상대방과 대결한 뒤 이겨서 점수를 많이 얻거나 끝까지 생존하면 성공하는 게임이에요. 혼자서 미션을 수행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와 협동하는 게임과 달리 다른 플레이어의 게임 실력을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집중력과 판단력이 필요하지요. 이기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을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2024년 04호

    doi: 10.1038/nature04970 즉 머스크가 발표한 원숭이와 인간 실험은 적어도 20년 전에 이미 성공을 거둔, 전혀 새로운 결과가 아니다. 그렇다면 머스크의 혁신은 어디에 숨겨져 있을까.뉴럴링크가 보여준 변화, 하드웨어의 혁신  “머스크가 공개한 원숭이 실험 장면을 볼까요. 자세히 보시면 원숭이 머리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4호

    소변을 연료로 사용해 움직이는 나노로봇을 개발해 방광암 세포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 소변을 연료로 사용한다고?보통 로봇은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얻지만 나노로봇은 너무 작기 때문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어려워. 그래서 동력을 얻기 위해 빛, 소리, 자기력 등을 대체 에너지원으로 ...

  • [특집] 개코, 복제해도 될까?

    [특집] 개코, 복제해도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4호

    있다”며 “성숙한 세포가 초기 단계의 세포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완전히 이해해야 복제 성공률을 높이고, 복제 동물의 건강도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복제 동물도 다시 길들이는 과정이 필요해요.”Q. 반려동물을 복제하면 펫로스 증후군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를 ...

  • 부족한 백신, 누구부터 맞아야 할까?

    부족한 백신, 누구부터 맞아야 할까?

    수학동아 2024년 04호

    말한다. 마침내 다국적 제약 기업인 아스트라제네카가 처음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했고, 2020년 12월부터 전 세계 사람들이 차례로 백신을 접종했다. 하지만 백신의 효능은 연령대는 물론 국가나 인종별로도 다르고, 그 물량도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확진자 수와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2024년 04호

    간엽세포로 분화시키고, 이를 이용해 치아의 구성 세포로 이뤄진 경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16/j.jare.2023.08.012 하지만 아직 이 세포들을 가지고 모양과 기능을 갖춘 치아로 만드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정 교수는 “치아의 구조와 모양을 모사할 수 있는 스캐폴드(지지대) 개발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과학동아 2024년 04호

    관리에 집중돼 있습니다. 무엇을 하겠다고 연구자가 사전에 작성한 것을 완료한 경우 ‘성공’이라고 부르는 이상한 구조죠. 하지만 새로운 연구와 혁신은 몇 년 전 써냈던 연구과제 제안서에 묶이면 안됩니다. 지금의 경직된 R&D 연구 운영은 연구자들에게 뒤떨어진 연구를 종용하는 것입니다.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동아 2024년 04호

    낭비하게 됩니다. 나아가 성공 가능성이 낮은 혁신적인 연구 대신 평가를 통과하기 쉬운, 성공 가능성이 높고 단순한 연구만 추구할 수도 있습니다. 완전히 새롭고 혁신적인 연구가 나오기 힘들다는 뜻이죠. 홍 본부장은 반대 사례로 미국을 들었습니다. 미국에선 과제가 선정되긴 어려우나, 일단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