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핫이슈] 어수동 같이 읽고 놀이북 활동하자

    [핫이슈] 어수동 같이 읽고 놀이북 활동하자

    어린이수학동아 2021년 06호

    그림을 교실 뒤쪽 벽면에 전부 붙여 전시했습니다. 덕분에 교실이 알록달록해졌고 생기가 넘치게 됐어요.‘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 하는 독서 활동’에 실린 미로 찾기도 마찬가지로 복사해서 나눠줬어요. 어떤 친구들은 놀이북 표지 색칠하기와 미로찾기가 너무 재밌어서 집에 돌아가서 ...

  • [기획] 미술관 옆 작업실

    [기획] 미술관 옆 작업실

    과학동아 2021년 05호

    주 : 박물관과 미술관에 박제된 문화재와 미술품에 오늘날의 생기를 불어넣은 두 장인을 만나 시대를 초월한 예술과 이를 가능케 한 기술의 관계를 성찰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미술관 옆 작업실Part1.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대 이은 문화재 사진작가 고(故) 한석홍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2021년 05호

    ※편집자 주 : 박물관과 미술관에 박제된 문화재와 미술품에 오늘날의 생기를 불어넣은 두 장인을 만나 시대를 초월한 예술과 이를 가능케 한 기술의 관계를 ... 지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기증을 통해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문화재 사진작가팀’이 생기길 꿈꿔 본다”고 말했다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2021년 03호

    이겨내고, 외부의 죽어가는 세포와 신호를 주고받는다. 도로시와 교감한 생명은 다시 생기를 얻는다. 어떻게 이게 가능한지는 누구도, 심지어 발명자조차 모른다. 죽어가는 세포 살려내는 나노봇은 아직 요원한 꿈미국의 공학자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창조의 엔진’에서 지금의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2021년 02호

    목표는 단순히 창의성을 연구하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그는 “‘에너지’라는 개념이 생기며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계들이 쏟아져나왔다”며 “창의성 역시 개념을 완벽하게 정립하면 창의성을 이용한 기계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의 창의성을 더 키워주는 등 우리가 ...

  • [기획] ‘정상 체온’이 변했다?!

    [기획] ‘정상 체온’이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4호

    말하긴 어려워요. 하지만 이번 연구처럼 보건 위생 수준이 좋아지면 몸에 염증이 덜 생기고, 항생제 사용으로 체온은 떨어질 수 있지요.   Q 정상 체온이 낮아지면, 우리 수명은 어떻게 될까요?수명엔 여러 요소가 작용해 단순히 체온만으로 예측하기란 어려워요. 예를 들어 세균 감염이 줄어들어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방광(膀胱, bladder) , 네트워크(network)

    [과학용어 따라잡기] 방광(膀胱, bladder) , 네트워크(network)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2호

    노폐물이 신장에서 걸러져 오줌이 되는 거죠. 오줌은 1분에 약 1ml(밀리리터)씩 꾸준히 생기지만, 다행히 우린 1분마다 화장실을 들락거릴 필요는 없어요. 방광에서 오줌을 모았다가 한 번에 배출시키기 때문이죠.방광의 크기는 약 400ml예요. 보통 방광에 오줌이 200~300ml 정도 모이면 ‘오줌이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3호

    이곳에서는 모든 빛이 흡수돼 매우 깜깜한 암흑세계가 된답니다.  Q. 침은 어디서 생기나요? / 홍지혜 (jykim76)사람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1~1.5L 침을 만들어요. 이 침은 ‘타액선’이라고도 불리는 ‘침샘’에서 만들어지는데, 우리 사람에겐 크게 세 종류의 침샘이 있어요. 각각 귀밑샘, 턱밑샘, ...

  • [팩트체크] 올해 역대급 폭염 찾아올까

    [팩트체크] 올해 역대급 폭염 찾아올까

    과학동아 2020년 08호

    바람이 부는 높이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뉩니다. 상층 제트는 북위 30~50도 지역에서 생기며, 약 10km 상공에서 지표면과의 온도 차에 의해 발생합니다. 겨울보다 수직 온도 차가 큰 여름에 상층 제트의 속도가 더 빠릅니다. 속도는 시속 100~200km로 다양합니다. 반면 하층 제트는 3km 상공에서 부는 ...

  •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03호

    주로 쥐벼룩이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을 보유하고 있다가 사람에게 옮기면서 병이 생기지요. 하지만 지금은 중세시대와 달라요. 페스트균에 감염돼도 2일 이내에 발견하고 항생제를 투여하면 치료할 수 있답니다. 다행히 중국에서도 추가 감염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지요.이후 12월에는 중국에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