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

    과학동아 2018년 01호

    멀미는 몸이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감각기관(눈)이나 뇌가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해 감각 불일치로 나타난다. 사이버 멀미는 그와 반대다. 눈이나 뇌가 움직임을 인식하는데 몸은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해 발생한다. 서 대표는 “장비의 사양이 사이버 멀미에 영향을 준다”며 “HMD를 쓰면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2017년 11호

    이 때문에 각국의 인공지진 발표 수치가 일치하지 않자 논란이 일었다. 사실 이런 불일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금까지 여섯 차례에 걸친 북한 핵실험에서 한국과 중국, 미국이 발표한 인공지진 규모가 일치했던 경우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 동일한 인공지진에 대해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놓은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

    과학동아 2017년 01호

    뉴턴역학이다. 이를 이용하면 암흑물질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도 은하 회전 속도의 불일치(보이는 물질의 중력보다 훨씬 더 큰 중력이 필요할 만큼 은하의 공전 속도가 빠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그러나 수정뉴턴역학은 곧 한계를 드러냈다. 은하 규모(수 킬로파섹)에서만 잘 들어맞았던 것. 이는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

    과학동아 2016년 12호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의해야만 사과가 성립한다. 반면 ‘그러나’라는 접속사는 의견 불일치를 나타낸다. “늦어서 미안해. 그러나(하지만) 네가 시간을 너무 촉박하게 잡았잖아”가 그 예다. 결국 누가 잘못했는지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동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암시를 준다. 둘째는 조건부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2016년 10호

    더욱 빛났다.필자가 아는 한 흉부 엑스선 검사와 DNA 검사를 모두 한 경우, 두 검사 결과가 불일치한 경우는 한 번도 없었다. 현재 DPAA 감식소에서는 흉부 엑스선 검사의 정확성을 인정해 이를 DNA 검사, 치아 엑스선을 이용한 감식과 더불어 독립적인 신원 확인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어떤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

    과학동아 2015년 12호

    콜로드너(현재 UC샌디에이고 교수)예요.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 중 하나인 ‘DNA 불일치 복구’가 대장암의 발병 원인이라는 것을 처음 밝힌 분이죠. 연구를 할 때 가설을 세우고,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 주셨어요. 후배 연구자들을 보면 박사학위를 가지고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

    과학동아 2015년 12호

    여전히 최선의 독감 예방책이다. 4가 백신은 B형 1종을 추가함으로써 3가 백신보다는 불일치 위험을 상대적으로 낮췄다. 예방 확률이 높은 4가 백신이냐, 가격이 싼 3가 백신이냐, 선택만이 남았다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과학동아 2015년 11호

    매우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을 자주, 그리고 어마어마하게 많이 먹고 있다. 이 같은 불일치로부터 모든 재앙이 시작됐다. 많이 먹을 수 있는 몸을 타고나지도 못했으면서 인간이 메가이터가 될 수 있었던 이유들을 살펴보자.잡식동물 인간, 수만 가지 동식물을 탐하다인간이 매우 다양한 동식물과,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2015년 11호

    수없이 일어나는 흔한 사건이다. 이 오류를 인지하고 복구하는 시스템이 바로 DNA 불일치 복구다. 이때 중요한 건 ‘메틸화’다. 모드리치는 DAM 메틸레이스라는 효소를 연구하면서 메틸기가 ‘수정할 부분’을 가리키는 일종의 표지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NA를 자르는 ‘가위’인 제한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

    수학동아 2015년 11호

    복소수에서는 방향을 사방으로 가질 수 있어 원형으로 나타난다. 앞의 만화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복소수로 확장한 것이다. 심지어 30km를 훨씬 더 긴 거리로 바꾸더라도 결국 세 명의 수학자가 탈출할 방법이 반드시 있다.사실 타오 교수의 이번 논문은 여러 검증 절차를 거쳐 유명한 저널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