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2012년 01호

    구조와 아치 구조는 앞에서 살펴 본 다리, 지하철 역사, 체육관 지붕 뿐만 아니라 경주 불국사 백운교에서도 볼 수 있고 여러 고궁의 돌다리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음료수가 들어 있는 캔의 바닥은 오목한 모양이다. 일종의 아치 구조다. 바닥 부분을 아치 모양으로 만들면 쓰러지지 않을뿐더러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21호

    도장을 새겨 사용하는 기술이 인쇄 기술로 발전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3- 751년 신라 불국사 석가탑 제작석가탑 안에서는 목판 인쇄로 만들어진 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석가탑을 751년에 만들었기 때문에 이 불경은 그 이전에 인쇄된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 불경은 세계에서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2010년 08호

    오랜 인류의 역사 속에는 수많은 문명이 탄생하고 사라졌어. 문명의 지도자들은 백성을 잘 다스리기 위해 해와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땅을 나누기 위해 기하학을 발전시켰지. 이들의 흔적은 문화유산 속에 잘 남아 있어.수학으로 세운 대피라미드  세계로 가는 수학여행의 첫 번째 도착지는 이 ...

  • 세계문화유산 수학여행기

    세계문화유산 수학여행기

    수학동아 2010년 08호

    수학의 의미까지 안다면 더욱 알찬 여행이 될 거예요. 사전답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 낸 불국사 대웅전 앞 석등의 비밀도 특별 공개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계문화유산 수학여행기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 PART 4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2010년 08호

    석굴암을 만날 수 있어. 석굴암은 불국사와 함께 1995년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됐지. 불국사를 가면 석굴암도 꼭 들리듯이 통일신라시대에 함께 지어진 두 유산은 언제나 운명을 함께하나 봐.신라 사람들은 바위를 파서 석굴을 만들고 그 안에 불상과 여러 조각을 새겨 넣었어. 한가운데 놓인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2010년 02호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1200년 전에 만들어진 종이 인쇄물이 발굴됐다. 바로 1966년에 경주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다.일명 다라니경이라 불리는 이 ‘닥종이 두루마리’는 신라 경덕왕 시대인 751년에 만들어진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2010년 01호

    독보적이었다. 당시의 건축술은 기하학적 구도를 이용해 전체적인 구성미를 창조했다. 불국사, 다보탑, 석굴암 등이 그 예이다.고려시대 수학은 신라 산학제도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수학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일관된 태도를 보이지 못했다. 즉 초기에는 국자감에 소속시켜 학문적 의의를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2007년 10호

    누구인지도 함께 기록하는 장치다.예를 들어 경주로 수학여행을 갔다고 하자. 첨성대와 불국사, 그리고 석굴암을 들러 수많은 사진을 찍었다. 여행에서 돌아온 뒤 친구들과 각자 CAMAR카피어에 저장된 사진을 증강현실 지도 위에 재생시켜 본다. 친구들이 찍은 사진을 모아 지도 위에 지역별로 ...

  • 콘크리트보다 강한 종이기둥

    콘크리트보다 강한 종이기둥

    과학동아 2006년 11호

    뮤지엄은 서울의 세종문화회관과 크기가 비슷하다. 우리의 전통 건축인 종묘나 불국사에서 나타나는 열주(列柱) 방식을 적용해 종이 기둥을 천장을 찌를 듯 높게 연이어 세웠다. 이런 대형 미술관을 쉽게 물에 젖고, 금방 불이 붙으며, 간단히 손으로 찢을 수 있는 연약한 종이로 기둥을 만들어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2006년 06호

    한반도의 동쪽에 붙어있었다. 차츰 한반도와 주변 해저는 대보운동(중생대 쥐라기)이나 불국사운동(신생대 초) 같은 강력한 조산운동을 받으면서 접히고, 찢어지고, 융기하고, 침강하는 복잡한 변형과정을 거쳤다.결국 한반도에서 일본열도가 분리되면서 지금의 동해가 형성되고 한반도가 현재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