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

    과학동아 2014년 05호

    엮은 사다리 줄에 한 발을 디딘 노인이 벼랑 끝에 매달린 채 벌집을 응시하고 있다. 집어삼킬 듯 소용돌이치는 수백만 마리의 벌떼와 깎아지른 절벽이 노인의 목숨을 노리고 있지만, 먹이를 노리는 날카로운 사냥꾼의 눈빛은 일말의 공포도 없이 매섭게 벌집에 꽂혀있다.프랑스 사진작가 에릭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

    과학동아 2014년 05호

    지형이 만들어질 수 없다. 중력이 강해 결국 무너지고 말 테니까.창 밖으로 까마득한 벼랑이 보였다. 숨이 멎는 듯 했다. 마리너계곡이다. 총 길이 4000km, 폭 200km로 태양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협곡이다. 북미대륙 서쪽 끝에서 동쪽 끝까지의 길이와 맞먹는 크기로, 지구의 그랜드캐년은 비교의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

    수학동아 2013년 05호

    스타크는 그 동안 맞서 싸운 적들과는 차원이 다른 최강의 적 만다린을 맞아 그야말로 벼랑 끝까지 몰린다. 위기에 빠진 아이언맨, 그는 어떻게 이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고 사람들을 구할 수 있을까?아이언맨에게 닥친 최대 위기!나는 토니 스타크. 세계적인 무기 제조 회사인 ‘스타크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

    수학동아 2013년 01호

    몬스터 호텔 적응기를 들여다보자!조니, 조니슈타인으로 거듭나다​배낭여행 중 벼랑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한 조니는 우연히 몬스터 호텔을 찾게 된다. 인간이라면 치를 떠는 호텔 주인 드라큘라는 이런 조니의 방문이 반갑지 않다. 물론 조니 역시 몬스터 전용 호텔이 부담스럽다.부담감과 ...

  •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

    과학동아 2012년 08호

    독도의 대표적인 조류는 괭이갈매기다. 이 새는 멸종위기등급으로 관심필요한데, 바위 벼랑에 붙어서 알을 낳고 새끼를 가르며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다. 생활양식은 무리 생활을 하며, 1회에 4~5개의 알을 낳는다.(…중략…) 서울에서 출발하여 울릉도에 도착한 후 다시 하루를 기다려서 독도에 갈 수 ...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과학동아 2012년 08호

    년에는 모하비 사막에서 약 400m 높이의 모래 언덕을 달리면서 터지지 않았고 경사진 모래 벼랑도 잘 올라갔어. 2004년 그린란드에서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10일간 130km나 이동했다고! 최대 이동 속도는 시속 17km, 평균 7km로 이동하면서 20분마다 위성으로 GPS와 함께 탐사 정보를 보냈단다. 남극에서는 ...

  • Part3. 비판과 한계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2012년 05호

    누벼이은 다중우주를 부정하기는 쉽지 않다. 관측 범위 밖에서 우주가 갑자기 벼랑 끝처럼 끝나리라고 믿는 편이 더 부자연스럽다.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 ‘WMAP’의 측정 결과도 우주가 무한하거나 적어도 대단히 클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WMAP와 은하 적색편이 측정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주에서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2012년 05호

    행동하는지 이유는 정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크게 3가지로 들 수 있다. 첫 번째, 막다른 벼랑에 다다르면 다른 곳으로 도망칠 방도를 찾다가 다른 곳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알게되면 그냥 바다에 빠지기를 선택한다. 두 번째, 눈이 좋지 않고 방향 감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서로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2011년 12호

    공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10월 31일부터 3일간 경주에서 ‘끊임없이 변모하는 지구와 벼랑 끝에 선 생명’이란 주제로 다산 국제컨퍼런스가 열렸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고 극지연구소가 후원한 행사였다. 미국, 프랑스, 일본과 국내 전문가들이 참가해 생명의 기원, 해저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2011년 06호

    다른 많은 생물들의 먹잇감이 되는 것 또한 애벌레의 주요한 생태적 기능이다. 언제나 벼랑에 서서 극한의 긴장감으로 생존하고 있는 애벌레들이 지금처럼 잘 살아야 생태적 다양성과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다. 애벌레의 삶을 넘어서, 생태계가 있고, 환경도 있고, 지구도 있다.지금까지 이 코너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