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

    과학동아 2019년 10호

     20세기 최고의 천재로 불리는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항간에는 그의 지능지수(IQ)가 200을 넘는다는 얘기가 있다. 아인슈타인이 IQ 검사를 받았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남아 있지 않지만 말이다.아인슈타인은 전기회사를 설립한 아버지를 통해 어려서부터 수학과 과학을 접했고 관심도 많았다 ...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

    과학동아 2019년 10호

    6월 한국어 인공지능 모델인 ‘코버트(KorBERT)’를 개발해 공개했다. 10년간 신문기사와 백과사전 데이터 등 총 23GB(기가바이트) 분량의 정보를 학습시켰다. 한 사람이 평생에 걸쳐 200쪽 분량의 소설 1만 권을 읽는다고 가정할 때, 이를 데이터로 환산하면 1GB 수준이다. 이를 고려하면 코버트는 인간과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

    과학동아 2019년 06호

    잡으면 그 정보가 자동으로 도감에 저장된다. 게임에 등장하는 모든 포켓몬이 수록된 백과사전 같은 큰 도감도 있다. 인터넷에서 ‘포켓몬 전국도감’을 검색해 보라. 수많은 포켓몬들의 속성이 세세하게 기록돼 있다. 심지어 키와 몸무게까지도 말이다. 대표적인 포켓몬의 키와 몸무게 몸무게키와 ...

  •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

    과학동아 2019년 04호

     책을 통해 독자들에게 무엇을 전달하고 싶나요?김동훈. 우주나 천문에 관련된 책들이 백과사전처럼 관련 지식들을 보여주는 데 치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우주를 보여주자고 생각했습니다. 탐험기를 실은 것도 그런 이유에서입니다. 그리고 책 군데군데 들어간 ...

  • [화보] 헝가리에서 날아온 유럽 나비

    [화보] 헝가리에서 날아온 유럽 나비

    과학동아 2019년 03호

    바라며, 헝가리의 한 생물학도가 보내온 유럽 나비 사진을 소개한다.●인터뷰 " 나비 백과사전 내고파"_아담 고르Q 자기소개 부탁합니다.저는 헝가리에서 유일한 수의대인 부다페스트수의대 생태학부에서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헝가리를 비롯해 유럽에 서식하는 나비들을 살펴보고 있으며,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2018년 12호

    편찬된 ‘의방유취(醫方類聚)’도 있다. 의방유취는 총 266권 264책으로 이뤄진 거대한 백과사전으로, 당시 전 세계에 알려져 있던 모든 의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오래전부터 우리 선조들이 세계의 우수한 기술을 받아들임에 있어 주저하지 않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고인돌도 빠질 수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2018년 09호

    문직기를 폐지한지 282년만이었다.   화본 이용해 무늬 넣어문직기 복원에는 조선시대 백과사전 격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남아 있는 문직기 그림과 중국에 남아 있는 실물이 핵심적인 단서가 됐다. 박기찬 석사과정 연구원이 중국에 약 두 달 동안 머무르면서 문직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

    수학동아 2018년 05호

    답을 얻을 수 있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만 참고하더라도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김 원장은 “관심 있는 주제를 검색하다 보면 또 궁금한 것이 생기는데, 영재들은 이를 계속 파고들어 스스로 학습한다”며, “배우는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2018년 03호

    디자인의 기원이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이후 여러 학자의 노력으로 조합론의 역사를 백과사전식으로 다룬 ‘조합론 디자인 편람’에 최석정의 이름을 올리면서 해외에서도 최석정의 업적을 인정받았지요. 그렇다면 최석정은 왜 마방진을 연구했을까요? 구수략에 담긴 마방진을 보면 하루 이틀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2017년 21호

    브론토사우루스가 되살아났다?!공룡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분류가 잘못되거나 제안되었던 주장이 다시 수정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곤 해요. 그 결과 세이스모사우루스처럼 이름이 사라지거나 반대로 새로운 이름이 나타나기도 한답니다. 사라졌던 이름이 되살아난 대표적인 사례는 브론토사우루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