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

    과학동아 2022년 09호

    2000년대 초, ‘닷컴버블’이라는 시기가 있었다. 전문가들이 사용하던 인터넷이 일반인에게까지 영향을 주는 PC통신으로 퍼지던 시기. 수많은 연결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되던 시기다. 마샬 맥루한이 말했던 ‘지구촌’이 처음 실현됐으며,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새로운 시대에 대한 기대감 ...

  • 더 뜨거워진 공대 최고 인기학과

    더 뜨거워진 공대 최고 인기학과

    과학동아 2022년 08호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빠지지 않고 들어있는 그것. 현대사회에서 언제나 인기 있었지만 앞으로 더 인기 있을 그것. 반도체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더욱 뜨겁게 주목받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반도체학과 정원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학과 이름에서부터 ‘반도체’가 들어간 학과. 이름 ...

  •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Bridge] “100명 중 99명은 이공계로 보내야”

    과학동아 2022년 08호

    양향자 국회의원은 반도체 엔지니어로서 국회 유일의 반도체 전문가다. 삼성전자 말단 연구원 보조로 시작해 최초로 고졸 출신 여성임원이 됐다. 그동안 40여 건의 특허도 출원했다. 이런 이력 덕분인지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무소속 의원인데도 국민의힘 반도체산업 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반도체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2022년 08호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이 되고 싶었다.수학이 바로 그런 표현의 방법이란 걸 배웠다.”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이 자라 2022년 필즈메달을 수상했다.한국계 수학자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겸한국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의 이야기다.  2022년 7월 5일(현지시간)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2022년 08호

    49.1% △위덕대 반도체전자공학전공 59.1%, 전자정보통신공학전공 54.5% △청주대 반도체공학과 62.5%, 전자공학과 68.1%였다. 반도체학과 졸업생들은 반도체 설계 회사를 비롯해 IT기업, 소프트웨어 회사, 반도체부품가공 업체, 설비/소자 업체, 연구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반도체학과와 ...

  • 네, 그래서 이과가 투명 스마트폰을 만들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투명 스마트폰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2022년 06호

     ‘김치 게임’ 이란 게 있습니다. 채소를 아무거나 말한 뒤, 구글에 그 채소로 만든 김치를 검색합니다. 그런 김치가 실제로 있으면 지는 겁니다. 쉽게 이길 것 같지만 생각보다 엄청 어렵습니다. 기자도 자신만만하게 도전했다가 벌칙으로 딱밤을 하도 맞아서 이마가 볼록해진 적이 있죠. 당근 김 ...

  • [융복합@파트너]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

    [융복합@파트너]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

    과학동아 2022년 03호

     테이블에는 손톱만큼 작은 금빛 반도체가 놓여 있었다. 반도체 안에는 전기가 아닌 빛이 돌아다니는 길이 그려져 있었다. 이처럼 빛이 신호를 전달하는 반도체를 광반도체라고 하고, 광반도체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분야를 ‘실리콘 포토닉스’라고 부른다. 한상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 ...

  •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

    [인터뷰]“혁신 교육과 세계적 연구, 창업이 공존하는 공대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2022년 01호

    “서울대 공대가 세계 톱 수준의 공대라는 사실을 국민들에게 각인시키고 싶습니다. 서울대 공대는 분명 연구와 인력 양성 측면에서 사회에 큰 공헌을 했지만 사회적 관심이 집중된 곳이라 조금만 문제가 생겨도 큰 질책을 받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거든요. 구성원이 합심해 마음을 다잡고 이를 극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

    과학동아 2022년 01호

     2003년 처음으로 인간 유전체(게놈) 지도가 완성됐다. 당시 인류는 희귀질환을 비롯한 각종 유전질환을 곧 극복할 수 있을 것처럼 흥분했지만, 그때의 기술과 데이터는 아직 꿈을 실현시키기에 충분치 않았다.그로부터 약 20년이 지난 지금, 다시 게놈이 희망의 불씨를 지폈다. 게놈 해독 기술이 급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2호

    우릴 막아내려면 손도 잘 씻고, 음식도 잘 보관해야 해! 이건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최근에는 아예 식중독균을 때려잡는 최신 기술이 등장했다는데…? 깩! 식중독균 검거? 5분이면 게임 끝~!3월 29일, 나노종합기술원 이경균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반도체 기술을 활용해 현장에서 식중독균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