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스크래프트] #24. 퓨처 킴의 산타 마을, 특명! 선물을 빨리 배달 하라

    [매스크래프트] #24. 퓨처 킴의 산타 마을, 특명! 선물을 빨리 배달 하라

    수학동아 2021년 12호

    3을 계산할 때 자연수를 1부터 넣어보는 알고리듬은 6번 만에 답을 찾아요. 그런데 좌변에 미지수, 우변에 상수를 두고 상수를 계산하는 알고리듬은 단번에 계산을 완료하지요. 앞의 문제처럼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따져보는 알고리듬을 ‘완전 탐색 알고리듬’이라고 해요. 이 알고리듬은 정확한 ...

  • [핫이슈] 우리 삶 깊숙이 살아 숨쉬는 진짜 수학을 만나다!

    [핫이슈] 우리 삶 깊숙이 살아 숨쉬는 진짜 수학을 만나다!

    수학동아 2021년 12호

    공부하면 논리력을 키울 수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방정식을 세울 때 무엇을 미지수 x로 잡을지 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계별로 전개해 나가는 등 수학 문제를 푸는 모든 과정에서 논리력을 요구하기 때문이에요. 이런 논리력은 데이터를 분석할 때 매우 중요해요. 끊임없이 ‘이렇게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

    과학동아 2021년 11호

    허가받을 수 있을지, 식품으로 허가받는다 하더라도 소비자에게 선택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 근육 위성세포를 쓰고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배양육에 사용 가능한 세포의 종류에 대해 뚜렷한 규정은 없는 실정이며 한국도 마찬가지다.많든 적든 동물 세포를 채취할 수밖에 없다는 ...

  • [특집] 물고기 잡으려다 바다를 망치네!

    [특집] 물고기 잡으려다 바다를 망치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1호

    바다로 돌아간다고 해도 그물에 걸려있던 동안 받은 스트레스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예요.즉, 현대의 어업은 식용 생선의 남획은 물론, 다른 해양 생물들의 삶과 생태계까지 체계적으로 파괴하고 있는 셈이에요 ...

  • [인터뷰] “수학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

    [인터뷰] “수학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

    수학동아 2021년 11호

    사람이 줄거리를 입력(x)하면 그에 맞는 글(y)을 출력하는 AI를 만들고 싶은 거잖아요. ‘미지수 x를 입력하면 계산을 거쳐 결과 y가 나온다’ 이게 함수 아니고 뭐겠어요. 딥러닝은 한마디로 함수고, 함수는 언어를 인식하게끔 텐서를 연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설 쓰는 AI를 떠올릴 수 있었어요.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2021년 10호

    높을 거라고 추측해왔지만 라틴어에서 만들어진 이론이 한글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읽기 속도, 정확도 등을 실험한 원경대 당시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연구원의 1990년 연구에서도 네모틀과 탈네모틀 사이에 가독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 연구원은 논문에서 ...

  •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

    과학동아 2021년 08호

     국제에너지기구(IEA)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도로 위를 누빈 전기차의 수는 1100만 대다. 지금의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10년 뒤에는 전기차가 1억 4500만 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 돌파했다. 다만 땅이 좁고 인구밀도가 높아 지하주차장이 많은 한국에서도 인기를 끌지는 미지수다 ...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

    수학동아 2021년 06호

    여기서 L은 Lower를, U는 Upper를 의미합니다. 먼저 연립일차방정식을 행렬로 변환한 뒤, 미지수의 계수 행렬을 두 행렬로 쪼개죠. 그 뒤에 일련의 과정을 통해 컴퓨터는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합니다. 행렬의 크기가 클수록 행렬을 이용해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연산이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

    수학동아 2021년 06호

     연립일차방정식을 행렬로 바꿔서 표현한 모습을 살펴보면 행렬은 방정식의 계수와 미지수를 따로 떼어 쓴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나 처럼 한 개의 열로 이루어진 행렬을 열벡터라고 하고 (a, b)나 (c, d)처럼 한 개의 행으로 이뤄진 행렬을 행벡터라고 합니다. AI를 비롯한 컴퓨터에서도 행렬과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

    과학동아 2021년 04호

    음성 기사를 연결시켰습니다. 이런 시도가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오직 당사자만이 알 수 있는 여러 불편함이 여전히 기사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을지도 몰라요. 다만, 이런 시도를 통해 기자와 독자가 그간 몰랐던 어려움을 함께 공부하고 개선책을 고민해 보는 계기가 ...

  • 더보기 +